1분기 국내은행 BIS비율 0.21%p상승 16.73%···카뱅·씨티·하나은행 순 높아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6-01 16:26:16
  • -
  • +
  • 인쇄
하나은행 바젤Ⅲ 최종안 도입, DGB대구은행 위험가중자산 규모 크게 감소

 

국내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이 소폭 상승했다.

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3월 말 기준 19개 국내은행의 BIS 총자본비율은 16.73%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16.52%) 보다 0.21%포인트 상승했다.

 

▲  출처=금융감독원 제공

BIS기준 총자본비율은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을 뜻한다. 금융당국의 규제 총자본비율이 10.5%인 점을 감안하면 국내은행은 안정적인 자본비율을 갖춘 셈이다.

 

1분기 은행들의 총자본비율이 오른 건 은행들의 대출자산 등 위험가중자산 증가분보다 순이익 확대, 증자 등으로 자본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난 결과다.

 

 

특히 이 기간 바젤Ⅲ 최종안을 도입한 하나은행과 내부등급법을 승인받은 DGB대구은행의 위험가중자산 규모가 크게 감소된 영향이 컸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카카오뱅크가 19.85%로 가장 높았다. 씨티은행(19.93%), 하나은행(16.32%), 국민은행(16.0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대출자산이 큰 폭으로 증가한 케이뱅크(14.20%), 수협은행(13.28%) 등은 자본비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출처=금융감독원 제공

8개 은행지주의 자산건전성도 개선됐다. 3월 말 기준 은행지주회사의 BIS 총자본비율은 15.16%로 직전 분기인 지난해 말(14.63%) 대비 0.53%포인트 상승했다.

 

회사별로는 하나가 16.32%로 높았고, △KB 16% △신한 15.9% △농협 14.99% △우리 13.58% 등의 순이다. 지방금융지주 중에선 1분기 내부등급법 승인을 받은 DGB금융이 14.97%로 가장 높았고, 내부등급법 승인을 추진 중인 JB금융(13.22%), BNK금융(12.42%)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다만 일부 은행의 경우 자산 증가속도가 빠르고 보통주자본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자본비율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자금공급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전한 자본관리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쿠팡, 정부와 손잡고 ‘AI 유니콘’ 만든다...750억 투자해 ‘제2의 쿠팡’ 육성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쿠팡이 정부와 손잡고 AI 기술기반의 혁신기업 발굴 및 투자에 적극 나선다. 쿠팡은 11일 중소기업벤처기업부가 AI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는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Next Unicorn Project)’의 알파코리아소버린AI펀드(스케일업 AI융합분야)에 75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벤처캐피탈사 SBVA가 운영사(GP)

2

롯데마트, '제주산 찰광어회' 2만원대에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 롯데마트가 국민 횟감의 대명사인 광어 가격 부담을 낮추기 위해 대체 횟감으로 찰광어를 선보인다. 롯데마트는 9월 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간 ‘제주산 찰광어회(300g 내외/냉장/국산)’를 2만 6900원에 판매하며, 고객들이 고급 횟감을 합리적인 가격에 즐길 수 있도록 기획했다. 지난해부터 여름철 이상고온으로 광어와 우럭 양식

3

결혼, 이사 준비 걱정마세요...아이파크몰, ‘더드림 리빙&웨딩페어’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HDC아이파크몰이 오는 12일부터 내달 5일까지 결혼 시즌을 맞아 예비 신혼부부를 위한 특별한 행사를 선보인다. 아이파크몰은 최근 다시 늘어나고 있는 결혼 준비 고객을 대상으로 기존 ‘리빙페어’에서 한 단계 더 확장한 ‘더드림 리빙&웨딩페어’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신혼의 설렘과 웨딩, 예식 준비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