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 코로나’(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에 대해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이 찬성하고, 그 전환 시기로는 국민 70% 이상이 2차 접종을 완료하는 11월 말을 꼽았다.
국민들은 대체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은 전 국민의 70% 이상으로 높아야 되고, 또 확진자는 1000명 미만으로 억제해야만 일상회복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또한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될 방역대책과 관련해서는, 백신 확보와 접종 확대 등 백신접종 관련한 정책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코로나19 관련 제6차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7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발표했다.
![]() |
▲ 제6차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KTV 캡처] |
4차 유행이 진행 중인 가운데 우리나라가 코로나로부터 안전하다는 응답은 전체 37.3%로 한 달 전보다 9.3%포인트(P) 상승했고,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응답은 85.7%로 3.9%포인트 하락했다.
10명 중 8명은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피해는 심각할 것(78.7%)으로 인식했으나,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10명 중 6명이 높지 않다(63.4%)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역수칙 실천 정도에 대해서는 마스크 착용,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출입명부작성 등 모든 항목에서 본인 스스로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서는 스스로 방역수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77.9%)하다고 인식했다.
그 밖에 사회를 위한 공동체 의식(58.6%), 방역수칙 위반에 대한 처벌(26.1%), 방역수칙 실천을 위한 정책과 지침(19.8%), 방역수칙에 대한 정보 제공(11.6%)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일상 속 코로나’(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에 대해서는 10명 중 7명꼴인 73.3%가 찬성한다고 답변했다. 이중 매우 찬성은 20.2%, 대체로 찬성은 53.1%였다. 반대는 20.2%(매우 반대 5.4%, 대체로 반대 4.8%)였다.
![]() |
▲ '일상 속 코로나'(위드 코로나) 국민 여론조사 결과. [그래픽=연합뉴스] |
일상 속에서 코로나 전환은 ‘국민의 70% 이상이 2차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11월 말)이 적당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52.4%로 가장 높았고, ‘국민의 70% 이상이 1차 접종을 완료한 9월 말 이후에는 전환하는 게 좋겠다’는 응답은 30.3%였다.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확진자의 규모에 대해서는 ‘하루 평균 100명 미만’이라는 응답이 41.9%로 가장 높아 최소 수준으로 발생을 억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500명 미만 28.4%, 1000명 미만 15.0%, 5000명 미만 4.3% 순이었다.
전체 85.3%가 지금 현재의 수준보다 낮은 하루평균 1000명 미만으로 유지해야 된다고 답변한 것이다.
일상 유지가 가능한 사망자 규모에 대해서는 현재 코로나19 수준인 연평균 1000명 이하라는 답변이 62.1%로 가장 높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계절독감 수준인 연평균 5000명 이하는 21.2%였다.
이는 사실상 코로나19 확진자를 최대한으로 억제해야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현재 영국, 미국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상회복의 방향성과는 다른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만큼 이같은 인식조사 결과는 향후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방안을 논의할 때 함께 고민해야 할 대목으로 판단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부분의 국민은 방역수칙 강화에 동의(75.9%)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21.9%)도 지난달 대비 7.5%포인트 증가했다.
코로나19 방역 정책 중 ▲ 코로나19 확산 억제 방역정책, ▲ 보건의료체계 정비, ▲ 예방접종 시행·계획, ▲ 유행상황을 반영한 방역수칙정비에 대해서는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높았다.
반면 ▲ 백신확보정책, ▲ 변이 통제를 위한 검역, ▲ 예방접종 사후대응(이상반응 모니터링, 보상 등), ▲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손실보상 정책에 대해서는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부가 앞으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방역정책은 백신수급, 접종확대 등 백신 관련 정책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68.2%는 예방접종을 했다고 밝혔으며, 추가 접종(부스터샷) 받을 의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90.9%로 높게 나타났다.
예방접종을 망설이는 이유로는, ‘이상 반응 우려’를 응답한 비율(81.6%)이 12.4%포인트 상승했고, ‘기본 방역수칙을 잘 지키면 예방할 수 있을 것 같아서’라는 응답(43.4%)도 7.1%포인트 높아졌다.
‘백신 효과를 믿을 수 없어서’라는 응답은 51.3%로 5.8%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수본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정책 결정에 참고하기 위해 국민인식, 방역수칙 실천정도 등에 대해 매월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번 내용은 지난 8월 30일부터 9월 1일까지 전국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