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볼'에 웃는 줄 알았는데...디아지오 영업익 감소한 까닭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3 08:42:56
  • -
  • +
  • 인쇄
위스키·데킬라 등 가격 인상에도 영업익 개선 실패
디아지오코리아, 광고선전비 증액 및 급여 상승 영향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주류기업 디아지오코리아가 전년 대비 감소한 영업이익을 거둬 그 배경이 주목을 받고 있다. 

 

앞서 디아지오코리아는 2022년 '윈저글로벌'과 분할된 이후 두 번째 성적표를 받았다. 디아지오코리아의 2023년 7월1일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의 감사보고서에서는 매출 1625억원, 영업이익 182억원이 기록됐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 22% 감소한 수치다. 

 

▲ 디아지오코리아는 조니워커를 독점 유통하고 있다.[사진=디아지오코리아]

 

디아지오코리아는 올해 초 인력감축을 진행하며 내실 다지기에 나선 바 있다. 10년차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자발적 조기 퇴직 프로그램을 진행한 이 회사지만 인력감축 이후에도 영업이익이 개선되지 못한 모습이다. 

 

위스키는 코로나19 당시 집 안에서 술을 즐기는 '홈술 문화' 속 하이볼 열풍에 힘입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바 있다. 관세청 자료를 확인했을 때 위스키 수입량은 2021년 1만5662톤에서 2022년 2만7038톤으로 72.6% 폭증하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또한 3만586톤으로 크게 증가했지만 중저가 제품의 유입이 주를 이뤘다. 

 

올해는 상반기를 기준으로 수입량이 1만2663톤으로 크게 감소하며 전년 대비 24.9% 급감했다. 이는 위스키 시장이 침체기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 

 

카테고리를 다양화하는 시도는 디아지오코리아의 매출 성장의 기반을 다졌으나 영업이익이 감소한 데에는 광고 비용과 인건비가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디아지오코리아의 광고 선전비는 496억원으로 전년 424억원으로 17%가 증가했다. 또한 급여가 110억원 수준에서 184억원 수준으로 증가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디아지오코리아가 매출 면에서 성장세를 기록했지만 회사 운영에 있어 인건비와 광고판촉비 증가 등으로 내실다지기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한편 디아지오코리아는 현재 조니워커를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기네스, 싱글톤, 탈리스커 등도 유통하고 있다. 디아지오코리아는 지난 7월 위스키와 데킬라의 가격을 약 18% 인상한 바 있다. 이유는 외국과 가격 정책 일관성을 고려한다는 이유에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