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포커스] TPP 협상서 우린 왕따?

조승연 / 기사승인 : 2015-10-06 10:08:19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TPP 협상 과정에 한국은 왜 없었을까? TPP 협상 타결 소식이 지구촌을 강타했다. TPP는 다자FTA의 성격을 지닌, 세계 최대 규모의 배타적 자유무역구역을 새로 형성하는 국제무역 규범이다. 태평양을 빙 둘러싸고 분포돼 있는 12개 나라가 맺은 다자협정이라는 의미에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국내총생산 기준으로 치면 전세계 경제의 40%를 차지하는 나라들이 모여 담을 둘러친 채 그 안에서 자기들끼리 상부상조식 무역거래를 하겠다고 만든게 TPP다. 그런데 TPP 협상에서 한국이 빠졌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한국은 5일 타결된 TPP 협상에 참여하지 않았다. 당연히 TPP 가입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물론 한국도 2013년 TPP 협상에 공식적으로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어차피 언젠가는 TPP 가입이 이뤄질 것임을 예고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처음부터 TPP 협상에 참여하지 않은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논란이 있긴 하지만 문제는 역시 일본이었다. 일본에 곧바로 시장을 열어주어야 한다는 점이 부담스러웠던 것이다. 일본은 현재 미국 호주 캐나다 등과 함께 TPP 창립 멤버로 되어 있다. 이들 외에 뉴질랜드 멕시코 칠레 페루 브루나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이 회원국이다.


하지만 언젠가 한국의 TPP 가입이 이뤄져야 한다는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TPP 가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다만, 그 시기를 두고 다소 다른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대한 빨리 TPP 가입 협상이 진행되고 한국의 가입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반면, 또 다른 일부는 TPP 가입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후자의 주장을 펴는 이들은 한국이 TPP 주요 회원국들과 대부분 양자간 무역협정을 체결한 상황이라는 점을 그 이유로 들고 있다.


신중론자들은 TPP 가입을 서두르다가 실익도 없이 일본에 무차별적으로 문호를 개방하는 역효과만 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정부도 TPP 조기 가입 문제에 신중하게 대처하고 있다. 우선은 공청회 등으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쳐 추후 방침을 정하겠다는게 정부의 기본 입장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