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물가 상승률 0.7%로 사상 최저

조승연 / 기사승인 : 2015-12-31 14:34:49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역대 최저인 0.7%를 기록했다. 31일 통계청은 '소비자물가동향' 발표를 통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7%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1년 4.0% 수준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2.2%, 2013년 1.3%, 2014년 1.3%로 하향곡선을 그리다 0% 대로 떨어졌다. 물가상승률이 0%대를 기록한 것은 외환위기 직후였던 1999년(0.8%) 이후 두번째다.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변동 효과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2% 상승했다.


지출빈도가 높은 142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2% 하락했다.


올해 저물가현상은 지난해 말부터 지속된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 하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전셋값 상승의 영향으로 서비스가격이 1.8% 올랐지만 석유류 가격이 19.0%나 내리면서 상품가격은 오히려 0.7% 하락했다.


공업제품가격은 0.2% 하락했다. 담뱃값 인상의 영향으로 국산담배는 83.7%, 수입담배는 67.5%씩 가격이 올랐다. 가방(+15.0%), 남자정장(+5.1%) 등도 가격이 상승했다. 하지만 저유가로 인한 하방요인이 더 컸다. 휘발유(-17.3%), 경유(-20.5%), LPG(자동차용 -23.4%), 등유(-26.2%) 등의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저유가의 영향을 받아 전기·수도·가스 가격도 7.4% 하락했다. 도시가스료(-15.8%), 전기료(-1.7%), 지역난방비(-0.1%) 등이 하락했고 상수도료는 2.0% 올랐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2.0% 상승했다. 양파(+33.9%), 마늘(+23.3%), 시금치(+20.6%), 쇠고기(국산 +7.3%), 돼지고기(+3.7%) 등의 가격이 올랐다. 포도(-13.1%), 귤(-11.4%), 복숭아(-15.2%), 감(-14.5%), 수박(11.5%), 배(-6.9%) 등 과일류 가격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서비스가격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친 요인은 집세였다. 전세가격이 3.6%, 월세가격이 0.3%씩 올랐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서울사이버대,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지난 11일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는 속눈썹펌 분야의 전문성과 안전성을 확립하고, 올바른 시술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이번 협약은 한국속눈썹펌전문협회 소속 장학생들이 서울사이버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절차 및 협

2

코오롱생명과학, 美 신경과학학회서 ‘KLS-2031’ 주목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코오롱생명과학(대표 김선진)이 미국 신경과학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SfN 2025)에서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KLS-2031’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회사 측은 12일, 오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SfN 2025에서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PDPN)

3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ETF' 앱 출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더욱 스마트한 ETF 투자를 위해 ‘TIGER ETF’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TIGER ETF 앱은 최근 전면 개편된 TIGER ETF 공식 홈페이지의 핵심 기능과 디자인을 그대로 구현했다. TIGER ETF 라인업에 대한 상세 정보부터 시장 리포트, 투자 정보 등까지 한 눈에 확인할 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