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2시간 조기퇴근제에 구직자들 열받을라

장찬걸 / 기사승인 : 2016-03-29 17:08:05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매월 하루씩 2시간 조기퇴근제가 정부 주도로 30일부터 실시된다. 당장은 제도 추진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산하 기관들이 적용 대상이다. 2시간 조기퇴근제는 달마다 하루씩 지정된 '문화가 있는 날' 실시된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이 적용일이다.


해당 날짜에 2시간 조기퇴근제를 적용해 전 직원들이 오후 4시면 퇴근하도록 한다는게 새 제도의 골자다. 제도 시행의 명분은 '문화 소비 증대'다. 해당되는 날짜에 두 시간 먼저 퇴근해 직원들이 문화생활을 즐김으로써 에너지를 재충전하고 영화나 연극 관람, 고궁 방문 등으로 문화 소비를 늘림으로써 그 과정에서 파생되는 기타 소비의 증대 효과도 동시에 기대한다는게 문화부의 의도다.


2시간 조기퇴근제 실시로 생기는 업무 공백은 유연근무제 등을 활용해 보충하도록 한다는게 정부의 입장이다.


정부의 2시간 조기퇴근제 실시엔 민간 업체의 동참을 바라는 마음도 담겨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로 인해 내수가 조금이라도 살아났으면 하는 마음이 포함돼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정부의 그같은 의도는 일견 수긍이 가는 면이 있다. 이론상으론 2시간 조기퇴근제 도입 취지에 공감할 여지도 있다. 하지만 대통령이 '문화가 있는 날' 영화를 관람하는 모습을 연출하곤 하는 것이 내수 증진에 정말 도움이 되는지는 미지수다. 오히려 공휴일이 자꾸 늘어나는 바람에 손님이 더 없어져서 파리만 날린다며 볼멘 소리를 하는 자영업자들도 부지기수다.


민간업체에 몸담은 직장인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혹독한 불황 속에서 한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연월차 휴가를 안쓰고 출근하려 애쓰지만 사용자들은 그 반대 논리로 연월차 사용을 강제하고 있는게 오늘의 현실이다. 무작정 놀게 해주는게 근로자들을 도와주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현재 많은 민간업체들은 전 임직원을 상대로 연월차 휴가를 강제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이전엔 관행적으로 지급하던 연월차 수당을 아끼고 있다. 그 결과 근로자들 다수는 이전에 비해 실질 소득이 줄어들었다며 불평을 토로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많은 근로자들은 2시간 조기퇴근제 등의 이야기가 나오면 "돈이 없지, 시간이 없나?"하는 푸념을 늘어놓곤 한다. 특히 저임금 근로자들은 오히려 실질 가계소득 감소에 시달리는 나머지 과거처럼 일요일에도 출근해 휴일 수당을 챙기던 시절을 그리워하고 있는 실정이다.


2시간 조기퇴근제를 다룬 기사 댓글이나 관련 내용을 옮기는 SNS에 "배부른 소리 하고 있네."라는 투의 부정적 반응이 난무하는 것은 그같은 현실의 반영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