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개혁론 또 '스멀스멀'....언제가 좋을까?

유원형 / 기사승인 : 2016-06-22 10:53:32
  • -
  • +
  • 인쇄

화폐개혁론이 또 제기됐다. 잊을만하면 한번씩 제기되는 화폐개혁론이지만 누구도 선뜻 나서서 시도하지 못하는게 또한 화폐개혁이다. 역대 정권의 위정자들이나 한은 총재들도 매 한가지였다. 그 필요성은 대체로 인정하면서도 화폐개혁을 시도했을 때 나타날 부작용과 후유증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화폐개혁을 논할 때 늘 뜨거운 쟁점이 되는 것은 그 시점이다. '지금이 화폐개혁을 시도할 때인가'가 항상 논쟁의 초점이 되곤 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새로이 논쟁에 불을 붙인 이는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을 역임한 더불어민주당 최운열 의원이었다. 초선이지만 전문성으로 인해 더민주의 경제민주화 TF팀을 이끌고 있는 최운열 의원은 지난 21일 라디오(CBS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에 출연해 대담하면서 화폐개혁 필요성을 이야기했다.


그가 말한 화폐개혁은 그간 국내 전문가들에 의해 주로 거론돼온 리디노미네이션(화폐단위 축소) 방식이었다. 즉, 화폐단위를 낮춰 1원의 가치를 10배 또는 100배, 아니면 그 이상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최운열 의원이 제시한 방안은 1000원의 단위를 1원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식당 등에서 5500원을 5.5원으로 표기하는 등의 관행을 따르는게 국민 정서에 가장 잘 부합할 수 있다는게 그 이유다.


최운열 의원은 현재 원화의 화폐단위가 너무 크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또한 늘어나고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미화 1달러의 교환 비율이 1000원을 넘는 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한국이 유일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는 경제력 면에서 세계 10위권에 있는 한국의 국격에도 맞지 않는 일이라는게 최운열 의원의 주장이다. 실제로 그 나라 화폐의 환율은 국력에 비례해 책정되는게 일반적이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원화의 화폐단위는 너무 높게 책정돼 있는게 사실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1962년 이후 한번도 화폐개혁을 단행하지 않은데서 비롯된 현상이다. 경제력은 엄청나게 신장됐는데 화폐단위는 그대로인 것이 문제가 되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화폐개혁 시도 시점이다. 화폐개혁은 때를 잘못 선택하면 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입힐 수 있는 양날의 칼이다. 북한의 경우도 최근 섣불리 화폐개혁에 나섰다가 엄청난 후유증에 시달린 바 있다.


화폐개혁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인플레와 광범위하고도 장시간에 걸쳐 발생할 사회적 비용, 소비자 불편과 혼란 등이다. 그러나 그같은 부작용 요인들을 따져볼 때 지금이 적기라는 의견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우선 인플레 문제가 걸림돌이라면 지금이야말로 화폐개혁의 적기라는 주장이 많다. 지금 우리경제는 인플레가 아니라 오히려 디플레이션을 우려해야 할 상황이라는게 그 배경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지나친 저물가 현상 지속으로 인해 소비 침체가 장기화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회적 비용 문제도 별 걱정할게 없다는 목소리가 조금씩 힘을 얻고 있다. 이를테면 화폐개혁시 각 기관의 전산시스템 교체 등 비용 발생 요인이 생기지만 그런 움직임이 오히려 내수를 진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 불편은 화폐개혁을 언제 해도 감내해야 할 문제인 만큼 반대 이유가 될 수 없다는게 리디노미네이션 찬성론자들의 논리다. 하지만 "왜 하필 경제적 현안들이 산적한 지금이어야 하느냐?"는 반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어 이 문제 또한 만만치 않은 화폐개혁 저항 요인이 되고 있다.


경제산업부장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원형
유원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