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소득 불평등, 고령층 뿐이랴마는...

조승연 / 기사승인 : 2016-09-11 14:59:56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우리나라 고령층의 소득 불평등이 심각하다는 것은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2000년에 이미 고령화사회(65세 노인 인구 비중 7% 이상)로 진입했고, 곧 고령사회(노인 인구 비중 14% 이상) 단계에 들어간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령층의 소득 불평등은 간단히 다룰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사회, 2026년엔 65세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하는 시점은 선진국들에 비해 빠르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의 단계별 진입 속도는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평을 듣는다.


최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간한 '노동리뷰' 9월호('고령층 고용구조 변화와 소득 불평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5년 현재 생산가능 인구 중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은 21.9%였다. 이들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것과 맞물려 생산가능 인구 중 15~29세 청년층의 비중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고령층의 고용률은 38.9%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층 중에서도 60~64세 인구의 고용률은 59.4%나 됐다.


문제는 고령층 인구의 노동시장 진출 확대에 따라 나타나는 소득 불평등 현상의 심화다. 자료에 따르면 이들 고령층의 상대임금 수준(시급 기준)은 전체 임금근로자들이 받는 임금의 65%에 불과했다. 더구나 고령층 여성은 고령층 남성의 60% 수준의 임금을 받고 있다.


이같은 현상으로 인해 2015년 현재 고령층의 56.5%가 저임금 근로자로 분류됐다. 이는 전체 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 비중 21.4%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저임금 근로자는 중위임금(정가운데 순위의 임금)의 3분의2 미만 소득자를 지칭하는 용어다.


최저임금 기준을 적용할 경우 그 이하를 받은 고령층의 비중은 37.1%나 된다. 전체 근로자 중 최저임금 이하를 받는 이들의 비중은 11.6%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