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 60대가 대세....유럽 각국서도 일반화

조철민 / 기사승인 : 2016-12-30 11:47:47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철민 기자] 우리나라도 새해부터는 모든 직장의 정년퇴임 연령이 60세 이상으로 고정된다. 지금까지 60세 미만 정년제를 택해온 직장들에 있어서 60세 이상으로의 정년연장은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이다.


정년연장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견해가 많다. 최근 한국은행이 개최한 '2016년 한국은행 경제전문가 초청 워크숍'에 나온 장민 조사국장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정년연장의 불가피성을 역설했다.


장 국장은 울해 우리나라의 생산가능 인구 수를 3700만명으로 추산하면서 당장 내년부터 그 수가 10% 정도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런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를 보전하기 위해 정년연장이 필요하다는게 그의 주장이었다.


장 국장은 일본이 65세, 독일이 67세로 정년연장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우리도 정년연장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못지 않게 고령화 현상을 겪고 있는 유럽 각국들은 정년연장에 적극적이다. 이미 67세로 정년연장을 단행한 독일에서는 중앙은행 주도로 정년을 69세로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독일은 2029년까지 정년을 만 67세로 하도록 정해두고 있다. 그런데 중앙은행이 2030년부터 정년을 2년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것이다.


프랑스는 3년 전부터 정년을 기존의 60세에서 62세로 늘렸고, 스페인도 같은 해 65세에서 67세로의 정년연장을 단행했다. 이탈리아의 경우 2012년부터 남성의 정년은 65세에서 66세로, 여성 정년은 60세에서 62세로 각각 연장했다. 여성의 정년은 2018년까지 66세로 올라가도록 정해져 있다.


영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정년이 65세로 정해져 있었으나 5년 전부터는 아예 정년을 폐지했다.


유럽 각국이 이처럼 경쟁적으로 정년연장에 나서는데는 그만한 이유들이 있다. 대표적 이유는 고령 인구 증가로 인한 연금지출 급증과 노동력 부족의 심화 등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철민
조철민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티웨이항공, 트리니티항공으로 사명 변경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이 '트리니티항공(TRINITY AIRWAYS)'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새 출발에 나선다. 8일 티웨이항공은 사명 변경과 브랜드 공개하는 등 리브랜딩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그룹 통합 서비스 구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트리니티(TRINITY)'는 라틴어 'Trinitas&#

2

‘K-브랜드지수’ 자산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1위 굳건…삼성·신한·한화 뒤이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자산운용사 부문 1위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선정됐다고 8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3

다날, 원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본격화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통합 결제 비즈니스 전문 기업 다날은 원화(KRW)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리플(Ripple) 서비스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RP레저(XRPL)를 핵심 인프라 기술로 활용하기 위해 검토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XRPL은 리플이 주요 기여자로 참여하며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탈중앙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지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