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50대 가구주 가구' 가처분소득, 1년새 월 10만원 감소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3-03 15:23:39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은퇴를 앞둔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이후 최대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처분소득은 명목소득에서 조세·연금·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가처분소득이 줄었다는 것은 가계의 실질적인 경제력이 나빠졌음을 의미한다.


한국 경제를 이끌어온 50대는 가장 많은 인구가 몰려있는 연령층이다. 여기에는 베이비붐 세대도 일부 포함돼있다. 50대 가구의 가처분 소득이 준 것은 서민 경제가 어려웠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령의 자영업자 [사진 = 연합뉴스]
고령의 자영업자 [사진 = 연합뉴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50대가 가구주인 가계의 명목 월평균 가처분소득(전국·2인 이상)은 412만원으로 1년 전보다 2.4%(10만2000원)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분기(-2.9%) 이후 최대 낙폭이다. 반면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구 가처분소득은 1년 전보다 2.1% 늘었다. 2015년 2분기(3.1%) 이후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저출산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지난해 50대 인구 비중은 16.6%를 기록, 40대 비중(16.4%)을 넘어섰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3% 내외의 증가세를 유지했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지난해 비소비지출은 125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5%(16만8000원)나 늘었다. 이중 이자 비용이 4만1000원(48.2%)늘면서 비소비지출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 경상조세도 7만2000원(42.2%) 늘었다. 전체 가구 평균 이자·경상조세 증가율은 각각 24.1%, 29.4%로 50대 가구주 가계와 큰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최근 수년간 가계부채가 급격히 팽창한 상황에서 지난해 금리까지 오르면서 50대 가구주의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기준 50대 가구주 가계의 평균 금융부채는 9104만원으로 40대(9979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금융대출 중 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비중은 50대(15.4%)가 40대(13.9%)보다 더 높았다.


문제는 은퇴를 앞둔 50대 가구의 가처분 소득 감소는 저출산 고령화와 맞물려 노인 빈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소비·저축을 할 수 있는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게 되면 그만큼 50대 가구주의 노후 준비는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며 "노인 빈곤 문제를 더 심각하게 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