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이슈]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워라밸' 개선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3-10 18:00:19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지난해 2월 국회는 주당 법정 근로시간을 현행 68시간에서 52시간(법정근로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개정안은 ‘일주일은 7일’이라는 내용과 함께 주 최대 근로시간을 기존 68시간(평일 40시간+평일 연장 12시간+휴일근로 16시간)에서 52시간(주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으로 줄였다. 종업원 300인 이상의 사업장과 공공기관은 2018년 7월 1일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먼저 도입됐다.


주 52시간 근무제 이후 직장인들의 '워라밸'(워크-라이프 밸런스)이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 여가 시간이 늘어나며 자기계발이나 취미활동을 위한 지출이 크게 증가하면서다. 교육비와 오락문화 지출 증가율은 각각 9년과 7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1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교육비 지출(명목)은 42조2479억원으로 전년보다 3.2%(1조3107억원) 늘었다.


교육비 지출 증가율은 2009년(3.2%)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다. 금액 기준으로 사상 최대였던 2011년(42조8121억원)에 육박했다.


교육비 지출은 2012년부터 4년 연속 감소했다.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줄어든 여파가 있었다. 그러다가 2016년(0.5%) 증가세로 돌아섰고 2017년에 2.8% 늘었으며 지난해에는 증가율이 더 높아졌다.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증가하는 추세 속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면서 개인시간이 늘어나자 퇴근 후 어학원이나 문화센터를 찾는 젊은 직장인들이 늘어난데 따른 결과인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오락문화 지출은 67조2357억원으로 4.6% 증가했다. 2011년(5.8%)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지난해 소매판매액 지수를 보면 오락, 취미, 경기용품 판매가 전년보다 12.3% 늘어나며 2010년(13.0%) 이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유통업체에서는 아웃도어, 캠핑, 게임용 제품 등의 매출이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주 52시간 근무제로 야근이 줄어들자 직장인들이 '워라밸'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자신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지스타 2025] 넥슨, 약 3년 만 '대한민국 게임대상' 대상 수상 영예…"마비노기 모바일 흥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넥슨이 2022년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이후 약 3년 만에 '대한민국 게임대상'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넥슨은 2025 대한민국 게임대상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게임대상은 한국게임사업협회가 주관하며, 전자신문, 스포츠조선이 후원하는 행사

2

비상교육,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비상교육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경영 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창의적인 디자인 경영으로 국가 디자인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 기관,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국내 디자인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으로 평가된다.비상교육은 2018년 교과서 발행

3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발할라 서바이벌’ 8챕터 업데이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핵앤슬래시 로그라이크 게임 ‘발할라 서바이벌’에서 8챕터 ‘바나하임 남부’ 지역을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신규 전장 공개와 함께 캐릭터 성장의 재미를 강화하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먼저, 신족의 수중 도시를 무대로 한 8챕터 ‘바나하임 남부’가 추가돼 색다른 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