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귀농·귀촌 50만 시대…1년차 연 평균소득 2319만원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3-11 15:19:41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지난해 50만명이 도시를 떠나 농·어촌으로 이주했다. 귀농인(1만9630명)과 귀어인(1359명)은 2만명이 넘는다. 귀촌인(49만7187명)까지 있다.


'워라밸'(워크-라이프 밸런스)의 가치를 중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사회적 이주가 시작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들은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인 이유로 이주를 했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조사 전문기관인 (주)한국갤럽에 의뢰,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조사 요원이 귀농·귀촌한 2507가구를 직접 방문해 면접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준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8%p다.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을 한 뒤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U턴형 귀농(53.0%)·귀촌(37.4%)' 유형이 많았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J턴형 귀농(19.2%)·귀촌(18.5%)'의 비중까지 포함하면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있는 사람이 농촌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들 가운데 10가구 중 6가구(귀농 60.5%, 귀촌 63.8%)는 귀농·귀촌 생활에 만족해했다. 귀농 가구의 귀농 준비기간은 평균 27.5개월로 조사됐다.


하지만 귀농을 결정한 가구 중 다수는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고 털어놨다. 귀농 1년차 가구의 연 평균소득은 2319만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귀농 가구의 43.1%는 농업소득 부족으로 농업외 경제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5년차 귀농가구의 경우 연 평균 소득이 3898만원으로 집계됐다. 농가 평균 소득이 연 3824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5년 이후부터 귀농가구가 농촌에서 자리를 잡아간다고 볼 수 있다.


23년 전 강원도 춘천으로 귀농한 한 가구주는 "지인의 권유로 도시생활을 정리하고 귀농을 하게 됐다"며 "귀농을 한 후 10년 간 느타리버섯을 재배했지만, 지금은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귀농생활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거주지에 확충돼야 할 공공서비스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며 "문화·체육서비스와 양육시설, 아동교육 시설이 보완된다면 귀농인구도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상아제약, 2025 대한민국 소비자만족지수 1위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상아제약은 지난 1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소비자만족지수 1위' 시상식에서 건강기능식품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상아제약은 오랜 제약 노하우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연이어 선보이며 업계를 선도해 왔다. 세계 최초 리포좀 공법을 적용한 '프리

2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 어린이 가족공연 '조금은 특별한 피노키오' 성료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이사장 최철규, 이하 재단)은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영월문화예술회관과 정선아리랑센터에서 어린이 가족공연 <조금은 특별한 피노키오>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공연은 폐광지역 아동·가족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3

SK증권 "롯데관광개발, 저평가 여전…목표가 25,000원 상향"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증권가가 롯데관광개발에 대해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다며 투자 매력을 강조하고 나섰다. 제주드림타워 카지노 실적 호조와 외국인 관광객 증가 추세를 근거로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11일 SK증권은 롯데관광개발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1,000원에서 25,000원으로 19% 상향 조정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