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이종빈 기자] 통신요금을 잘 낸 주부와 사회초년생 등 금융소외계층의 은행 대출이 전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3일 올해 하반기부터 국민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금융소비자의 신용등급을 재평가한다고 밝혔다. 시중은행들은 통신정보 등 비금융정보를 신용평가 자료로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금융정보는 통신(가입, 할부 등), 휴대폰 소액결제, 온라인 쇼핑 거래내역 등이다. 금감원은 이 같은 정보를 통해 신용도가 양호한 금융소외계층이 은행대출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news/data/20190403/p179565880448259_557.jpg)
기존 은행의 신용평가시스템은 여·수신(대출·예금) 실적, 신용카드 사용, 연체 이력 등 금융정보를 중심으로 작동된다.
하지만 최근 2년 내 신용카드 사용 이력 및 3년 내 대출 경험이 없는 사회초년생·주부·고령층은 금융이력부족자(Thin filer)로 분류돼 낮은 신용등급을 받아왔다.
저신용자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어 고금리를 부과하는 제2금융권으로 갈 수밖에 없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금융소외계층은 약 1300만명인 것으로 추산된다.
금감원의 방침대로 제도가 변경되면, 기존에 대출이 거절됐던 7∼8 신용등급자 71만명 중 약 20만명이 앞으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비금융정보는 신용 재평가 과정에서 활용된다. 이력부족자인 경우 비금융정보를 활용해 신용등급을 재평가한 후 재차 대출 가능 여부를 심사받게 된다.
금감원은 이런 재평가 절차를 여신심사 단계로 흡수해 단순히 대출 승인뿐 아니라 금리나 한도 등에도 영향을 미치도록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국민과 신한 등 5대 은행을 제외한 여타 은행에선 2020년부터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