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돋보기] 예타, 1년 내로 기간 단축... 균형발전 가중치↑

이종빈 / 기사승인 : 2019-04-04 13:59:20
  • -
  • +
  • 인쇄

[메가경제 이종빈 기자] 정부가 지역 균형발전 장려 차원으로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제도를 개편, 광역시나 비수도권 사업의 통과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행 제도는 경제성 평가가 중심이기 때문에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방 사업은 예타의 벽을 넘기가 어려웠다. 앞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평가 방식을 이원화해 균형발전과 대규모 사업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중시하겠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활력대책점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방안을 확정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 = 연합뉴스]

홍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별 특성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비수도권의 지역균형 발전 평가비중을 확대하고, 경제성 평가비중은 축소해 지역에 필요한 사업의 적기 추진을 최대한 도모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또 내달 1일부터는 관련 지침을 개정, 수도권과 비수도권 평가항목 비중을 이원화해 낙후지역을 배려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의 예비타당성 평가 시 경제성에 35∼50%, 정책성에 25∼40%, 지역균형발전에 25∼35%의 가중치를 둬왔다.


비수도권은 균형발전평가 비중을 30∼40%로 5%포인트 강화하는 반면, 경제성 비중은 30∼45%로 축소해 지역에 필요한 사업이 적기에 추진되도록 할 계획이다. 정책성 비중은 25∼40%로 유지한다. 비수도권 지역의 균형발전 평가시 지역낙후도는 현행 가·감점제에서 가점제로 운영한다.


수도권 사업은 경제성(60∼70%)과 정책성(30∼40%)으로 평가한다. 다만, 수도권 중 접경·도서, 농산어촌 지역은 비수도권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균형발전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재정을 낭비하는 무분별한 사업을 막는다는 예타의 취지가 빛바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밖에도 정부는 예타 조사 기간을 현행 평균 19개월에서 1년 이내로 단축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예타 재요구 요건을 완화하고 사업 재기획이 필요한 경우 철회나 반려를 적극적으로 허용하고, 예타 사업 신청 전 사업 주무 부처의 사전준비 절차를 강화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종빈
이종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지스타 2025] 넥슨, 약 3년 만 '대한민국 게임대상' 대상 수상 영예…"마비노기 모바일 흥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넥슨이 2022년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이후 약 3년 만에 '대한민국 게임대상'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넥슨은 2025 대한민국 게임대상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게임대상은 한국게임사업협회가 주관하며, 전자신문, 스포츠조선이 후원하는 행사

2

비상교육,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비상교육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경영 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창의적인 디자인 경영으로 국가 디자인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 기관,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국내 디자인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으로 평가된다.비상교육은 2018년 교과서 발행

3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발할라 서바이벌’ 8챕터 업데이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핵앤슬래시 로그라이크 게임 ‘발할라 서바이벌’에서 8챕터 ‘바나하임 남부’ 지역을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신규 전장 공개와 함께 캐릭터 성장의 재미를 강화하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먼저, 신족의 수중 도시를 무대로 한 8챕터 ‘바나하임 남부’가 추가돼 색다른 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