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올해 1분기 경상수지 흑자가 6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반도체 등 주력 상품의 수출이 부진했고, 특히 대중(對中) 수출이 원할하게 진행되지 않으면서 상품수지가 5년 만에 최소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그나마 외국인 입국자가 늘어 서비스 수지의 적자폭이 개선됐지만 수출 부진을 상쇄하지는 못했다. 3월 경상수지는 48억2000만 달러로 8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운송 등 외국과의 서비스거래 결과 수입과 지급의 차이를 뜻한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19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경상수지 흑자는 112억5000만 달러로 작년 1분기(116억5000만 달러) 대비 4억 달러 감소했다. 1분기 경상흑자는 2012년 2분기(109억4000만 달러) 이후 최소다.
![[사진 = 연합뉴스]](/news/data/20190508/p179565894781479_310.jpg)
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수입과 지급의 차이를 말한다.
1분기 수출은 1375억 달러로 1년 전보다 8.4% 줄었다. 분기별 수출이 감소한 것은 2016년 3분기(-3.9%)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1분기 수입이(1178억9000만달러) 지난해보다 7.6% 감소하면서 상품수지 흑자를 유지했지만, 수출과 수입이 동반 감소하면서 불황형 흑자 양상을 보였다.
불황형 흑자란, 경기가 불황기에 접어 들었을 때 수출과 수입이 함께 둔화되면서, 수입이 수출 감소량보다 더 많이 줄어 들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불황형 흑자는 수입감소폭이 수출감소폭을 상회해 무역수지가 흑자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근본 원인은 소비 감소다.
3월 경상수지는 48억2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내 83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지만, 상품수지 악화 영향으로 흑자 폭은 작년 3월(51억 달러)보다 감소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한국은행 박양수 경제통계국장은 이날 '2019년 3월 국제수지(잠정)' 관련 설명회에서 "현 단계에서 4월 경상수지의 흑자나 적자를 예단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4월 중 경상수지가 일시적 소폭적자나 소폭흑자에 머물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말했다.
4월 통관기준 무역수지(41억2000만 달러)가 전년 동월의 61억6000만 달러와 비교했을때 감소한 만큼 4월 상품수지 흑자규모도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지난해 4분기 이후 기업실적이 악화됐고, 지난해 중간배당 및 분기배당 등이 이미 크게 이뤄졌다. 전년 동월 대비 배당금이 크게 늘지 않을 것이고, 이미 3월 배당금 지급도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고 밝혔다.
박 국장은 서비스 수지의 적자폭이 개선되고 있고 외국인배당 지급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적자를 단언할 수만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