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이슈] 1분기 가계빚 1540조…대출 규제로 증가세 둔화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5-23 14:11:12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1분기 가계신용 잔액이 1540조원으로 집계됐다. 전기 대비 증가 폭은 6년 만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도 14년여 만에 4%대로 내려앉았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은행권 기타대출과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감소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난해 가계소득 증가율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가계빚은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래픽 = 한국은행 제공]
[그래픽 =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19년 1분기 중 가계신용'을 보면 1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540조원으로 전분기 말(1536조7000억원)보다 3조3000억원 늘었다. 이는 2013년 1분기 이후 가장 적게 늘어난 것이다.


가계신용은 일반 가정이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나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하고 진 빚을 모두 합해 일컫는 말이다. 개인 간의 거래인 사채(私債)는 제외된다.


가계 빚은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71조8000억원 늘어나 증가율은 4.9%로 집계됐다. 이는 2004년 4분기 4.7%를 기록한 이후 최저 수준이다.


가계빚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1451조9000억원으로 전기 대비 5조2000억원(0.4%)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22조8000억원)에 비해 증가액이 19조4000억원 축소된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64조7000억원 늘어 1년 전 증가폭(101조1000억원)보다 줄었다.


정부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지표 도입 등으로 가계대출 고삐를 바짝 조이고 주택 매매거래가 줄어들면서 가계 빚 증가세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DSR은 주택대출 원리금 외에 모든 신용대출 원리금을 포함한 총 대출 상환액이 연간 소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2016년 마련한 대출심사 지표이다. 이에 따라 시중 은행들은 위험대출은 15%, 고위험대출은 10%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다만 여전히 소득 증가율보다 가계 빚 증가세가 빠른 만큼 경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지난해 한국의 실질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3.9%인데 가계부채는 이보다 1%포인트 높은 증가율(4.9%)을 기록했다.


가계부채 총량도 국내총생산(GDP) 규모를 넘어섰다. 지난해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자금순환 기준)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00.4%로 처음으로 100%를 넘어섰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지난 5일 '산업동향&이슈' 제19호 보고서를 통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포인트 오를 때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0.1%포인트가량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