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연준 의사록 공개에 美국채 장단기금리 또 역전한 이유

김기영 / 기사승인 : 2019-08-22 11:08:36
  • -
  • +
  • 인쇄
2년-10년물 금리, 1주일만에 장중 일시 역전
美유통업체 실적 호조에 뉴욕증시 지수는 일제히 상승

[메가경제 김기영 기자] 지난 14일에 이어 일주일만에 미국 국채의 장단기 수익률(금리) 역전 현상이 또다시 발생했다.


경기침체 신호로 인식되는 미 국채의 장단기 수익률(금리) 역전 현상이 21일(현지시간) 장중 또다시 발생한 것이다.


이번 금리 역전 현상은 지난달 0.2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하가 장기적 연쇄 인하의 시작이 아닌 "중간 사이클(mid-cycle) 조정"이라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의사록이 공개되면서 비롯됐다.



[사진= 연합뉴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사진= UPI/연합뉴스]


미 CNBC 방송에 따르면 이날 오후 연준 FOMC의 지난달 의사록이 공개된 이후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2년물 수익률을 밑도는 이른바 수익률 역전이 일어났다.


장단기 국채 수익률의 역전은 지난 14일에 이어 1주일 만이다.


다만 이날 역시 수익률 역전은 일시적이었다. 이후 10년물 수익률은 1.587%, 2년물의 수익률은 1.569%를 각각 기록했다.


시장에서 채권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장기채는 자금을 오래 빌려 쓰는 만큼 단기채보다 제시하는 수익률이 높은 게 통상적이다. 이런 원칙에 역행하는 것은 경기침체를 예고하는 신호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지난 14일에는 경기침체 공포가 시장을 지배하면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올해 들어 최대폭인 800.49포인트나 미끄러지는 등 뉴욕증시가 폭락장세를 면치 못했다.


이날 미 국채의 장단기 금리 역전의 배경은 FOMC 회의록에 대한 시장의 부정적인 반응 때문이었다.



[사진= 연합뉴스]
FOMC의사록 공개 이후 부정적인 기류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뉴욕증시는 미 유통기업들의 실적 호조로 3대지수 모두 상승했다. [사진= 연합뉴스]


CNBC는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를 FOMC 회의록에서 연준 위원들이 단지 '중간 사이클' 차원의 인하라는 점을 재차 확인한 게 이날 경기둔화 공포를 상기시켰다고 평가했다.


연준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위원은 지난달 0.2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하는 정책 기조의 ‘재보정(recalibration)’이나 ‘중간-사이클(mid-cycle) 조정’으로 판단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이처럼 대부분의 연준 위원은 제롬 파월 의장이 밝힌 대로 7월의 금리 인하가 중간 사이클 조정이라는 데 동의했고, 또 입수되는 지표를 주시하면서 향후 정책 결정에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명의 위원은 지난달 50베이시스포인트(bp) 금리 인하를 주장한 반면 일부는 동결을 지지하는 등 금리 정책을 둘러싼 위원 간 이견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가와 관련해 일부 위원은 글로벌 경기 약화와 무역 정책 불확실성이 2% 목표 달성을 더 어렵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다수는 물가 약세가 일시적 현상일 수 있는 만큼 크게 우려할 사안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등 견해가 갈렸다.


다만 FOMC 의사록은 이날 뉴욕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오히려 이날 뉴욕증시는 타깃과 로우스 등 유통업체들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3대 지수가 일제히 올랐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0.29포인트(0.93%) 상승한 2만6202.7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3.92포인트(0.82%) 오른 2924.4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71.65포인트(0.90%) 오른 8020.21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미국의 대표적 할인 유통점 타깃이 시장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두 번째 회계 분기 순익을 발표했다. 매출도 시장 예상보다 양호했고, 올해 순이익 전망치도 기존보다 올려잡았다.


주택용품 판매점 로우스도 시장 예상보다 양호한 순익과 매출을 보고했다.


타깃 주가는 이날 20.4% 폭등했고, 로우스 주가도 약 10% 오르며 시장에 활력을 제공했다.


유통업체의 호실적은 미국 소비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기영
김기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