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다소비가공식품 가격동향] 맛살·스프·두부↓ 시리얼·국수·컵라면↑

장주희 / 기사승인 : 2019-10-18 16:52:51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주희 기자] 지난달 맛살·스프 등의 가격은 8월보다 내렸지만 시리얼·국수 등은 올랐다.


한국소비자원이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을 통해 다소비 가공식품 30개 품목의 9월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30개 품목 중 전월보다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맛살(-3.7%), 스프(-3.4%), 두부(-2.1%) 등 13개였다.


특히 맛살은 최근 4개월 연속 가격이 떨어졌으며, 밀가루는 지난 4월 이후 하락세가 이어졌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전월 대비 다소비 가공식품 판매가격 변동률. [출처= 한국소비자원]


반면, 한 달 전보다 가격이 오른 품목은 시리얼(5.6%), 국수(3.3%), 소주(2.5%) 등 15개였고, 컵라면은 최근 세 달 연속 가격이 올랐다.


품목별로 보면, 30개 품목 중 두부과 시리얼, 즉석밥은 상대적으로 전통시장에서 쌌고 커피믹스와 햄, 식용유는 대형마트에서 가장 저렴했다.


또, 생수, 설탕. 치즈는 SSM(수퍼수퍼마켓)이, 어묵·냉동만두는 백화점에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다.


유통업태 간 가격 차이가 가장 큰 품목은 두부(47.2%)였으며, 생수(36.2%)와 시리얼(32.3%) 등도 가격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업태별로 가장 저렴한 품목 수는 대형마트가 15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통시장(10개), SSM(3개), 백화점(2개) 순이었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맛살, 밀가루, 컵라면 가격변동 추이. [출처= 한국소비자원]


30개 품목의 평균 구매비용은 12만4721원으로, 8월에 비해 0.3% 적어졌고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1.6% 상승했다.


유통업태별로는 대형마트가 평균 11만6709원으로 가장 쌌고, 다음으로 전통시장(11만8898원), SSM(12만8707원), 백화점(13만4571원)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동일한 제품이라도 판매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큰 만큼 생필품을 구입하기에 앞서 생필품 가격정보가 주간 단위로 제공되고 있는 ‘참가격’ 사이트에서 판매가격, 할인정보 등을 확인해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주희
장주희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일지 작 연극 '진술', 19년 만의 귀환
[메가경제=김진오 기자] 2001년 초연 이후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하일지 작 연극 '진술'이 19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다. 2006년 강신일 배우와 박광정 연출의 버전 이후, 이번에는 배우 김진근과 연출 김종희의 만남으로 새롭게 부활한다. 극단 씨어터판(Theatre Pan)이 제작하며, 오는 11월 26일부터 12월 7일 까지 대학로

2

에어프레미아, 신입 승무원 첫 나눔으로 따뜻한 비행 시작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어프레미아의 신입 객실승무원들이 첫 공식 활동으로 보육원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비행의 첫걸음을 시작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최근 서울 강서구 소재 ‘지온보육원’에서 신입 객실승무원 약 23명이 참여한 가운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활동은 다가오는 겨울을 앞두고 선풍기 청소, 놀이물품 세척, 창틀 청소 등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쾌

3

강원랜드, 세계 최초 AI 기반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 본격 가동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직무대행 최철규)는 지난 9월부터 세계 최초로 AI와 로봇 기술을 결합한 ‘카지노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을 도입해 2개월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이번 시스템은 슬롯머신과 게임 테이블에서 수거된 현금을 로봇이 자동 회수해 이송·계수·검사·포장까지 수행하는 첨단 설비다. 이를 통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