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6 부동산 대책] 시장 예상 뛰어넘는 초고강도 세금·대출 규제 "갭투자 줄어들 것"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19-12-18 15:42:16
  • -
  • +
  • 인쇄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정부가 기습적으로 발표한 12·16 부동산 대책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초고강도 대책으로 여겨지며 대부분의 전문가들도 시장에 미치는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전격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조차 그 내용이 역대급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할 정도로 강도가 세다.


12·16 부동산 대책은 역시 대출과 세금이 양대 축이다. 고가주택자와 다주택자, 투기 목적의 주택 거래에 대해 대출의 문은 대폭 걸어잠그고 세금은 대폭 올리겠다는 게 핵심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크게 네 가지다. 대출은 15억원 이상 고가주택에 대해 주택담보대출을 원천 봉쇄하는가 하면 당장 17일부터 적용에 들어갔다. 또 2020년 납부 분부터 종부세율을 최대 0.8%포인트 인상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청약과 관련해서는 의무 거주기간을 2020년 3월부터 1년에서 2년으로 늘리고, 분양가와 관련해서는 서울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을 17일부터 8개구 일부에서 13개구 전역으로 확대한다.


이처럼 12·16 부동산 대책은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 세금 부분에 대한 시장의 예상을 크게 넘어섰다는 게 중론이다. 세율 인상폭이 상당하고 추가 대출 규제의 강도도 세진 데 따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에 대해 정부가 돈줄은 바짝 조이고 집값에 비해 낮다는 보유세 부담은 더욱 높임으로써 결국 '가진 자만 집을 사라'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자료 출처= 국토교통부]
[자료 출처= 국토교통부]

 


특히, 이번 대책으로 갭투자 등 투자 목적의 매수세가 상당히 위축되고, 다주택자의 보유세 부담이 예상보다 훨씬 커지면서 주택 수를 늘리는데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연합뉴스에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을 사실상 중단하고 우회·편법 대출도 상당수 차단돼 주택시장에 신규 진입이 더 어려워졌다"며 "임대사업자에 대한 혜택도 대폭 축소돼 있어 섣불리 주택 수를 늘리긴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가 밝힌 대응방향은 ▲투기적 대출수요 규제 강화, ▲주택 보유부담 강화 및 양도소득세 제도 보완,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 질서 확립, ▲실수요 중심의 공급 확대 등 네 가지다.


이를 통해 투기수요를 차단하고 실수요 중심의 시장으로 유도해 주택시장을 안정화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코웨이, 제주신화월드와 사업 제휴 업무협약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웨이가 제주신화월드와 전략적 사업 제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간 제휴’ 사업을 중심으로 제휴 파트너십 확대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코웨이는 28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신화월드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김순태 코웨이 경영관리본부장과 황웨이 제주신화월드 최고경영책임자(CEO)를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상호 협력 방

2

윤동한 콜마그룹 회장, 지주사 이사회 복귀 불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 윤동한 콜마그룹 회장이 자신의 이사회 복귀를 위해 제안한 안건들이 임시주주총회에서 부결됐다. 콜마홀딩스는 29일 세종시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신규 이사 선임 안건이 부결됐다고 밝혔다. 콜마홀딩스 최대주주(31.75%)인 윤상현 부회장은 이번 안건이 최근 자회사 경영권 이슈와 연관된 가족(윤동한 회장) 사안인

3

KGM, 3분기 연속 흑자 달성…역대 최대 매출 기록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2025년 3분기 판매 2만9,116대 매출 1조1,889억 원 영업이익 30억 원 당기순이익 105억 원을 기록하며 3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고 29일 밝혔다.이번 실적은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신차 글로벌 론칭 확대와 수출 물량 증가, 환율 효과 등에 힘입은 결과다. 3분기 및 3분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