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종코로나 누적 사망자 361명 "사스 넘었다"...공식 발표후 하루 최다 57명 증가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0-02-03 12:25:36
  • -
  • +
  • 인쇄
중국 내 누적확진자 1만7205명...하룻새 2829명 추가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누적 사망자수가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를 넘어서는 등 급증세가 꺾일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3일 0시 현재 중국 전체 31개 성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하 신종코로나) 누적 확진환자는 1만7205명, 사망자는 361명에 이르렀다.


2일 하루에만 2829명의 확진자가 추가됐고, 사망자도 57명이 늘어났다. 일일 사망자가 50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20일 위건위가 공식 통계를 공개한 이후 처음이다.



중국 안후이성 푸양에서 보호복을 입은 보건담당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발열 체크를 하기 위해 문진소 앞에서 대기 중이다. [사진= AP/연합뉴스]
중국 안후이성 푸양에서 보호복을 입은 보건담당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발열 체크를 하기 위해 대기 중이다. [사진= AP/연합뉴스]


사망자와 확진자 모두 사스 때보다 빠른 증가세다. 사스 당시에는 중국 내에서 5327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이중 349명이 목숨을 잃었다.


신종코로나의 확진자 수는 사스보다 적지만 사망자는 12명이 더 많아진 것이다.


후베이성위생건강위원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번 신종코로나의 발원지인 우한(武漢)을 포함한 후베이(湖北)성에서만 2일 하룻동안 2103명의 확진자가 추가됐고, 사망자는 56명이 늘어났다. 이날에만 중국 내 확진자의 74%, 사망자의 98%가 후베이성에서 발생한 것이다.


후베이성 중에서는 발병지 우한시의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1033명과 41명이 하룻새 추가로 증가했다. 중국 전체의 하루 확진자 중 37%, 사망자 중 72%에 해당한다.


누적 집계를 보면, 중국 내 전체 중에서 후베이성 확진자는 65%(1만1177명), 사망자는 97%(350명)가 발생했다. 우한시로만 보면 중국 전체 중에서 누적 확진자는 30%(5142명), 사망자는 73%(265명)이다.


위건위 집계에 따르면, 2일 하루만에 중국 내 의심환자는 5173명(후베이성 3260명)이 더 늘었고, 완치 후 퇴원한 환자는 147명(후베이성 80명)이었다.


이에 따라, 누적 의심환자는 2만1558명으로 늘었고, 완치 후 퇴원한 누적 환자는 475명이었다.


누적 밀접 접촉자는 18만9583명이고, 2일 의료관찰 해제자는 1만55명이며, 15만2700명에 대한 의료관찰이 진행중이다.


중화권 누적 확진자는 홍콩 15명, 마카오 8명, 대만 10명 등 모두 33명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2

AI 반도체 수요 폭발...8월 ICT 수출, 역대 최대치 달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8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반도체 판매 호조에 힘입어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액은 228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수요 확대가 반도체 수출 증가를 이

3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 결론 못 내...대규모 투자 조건 줄다리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방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귀국했다. 김 장관은 미국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나 한국의 대미 투자 구조와 이익 배분 방식 등 세부 쟁점을 논의했으나, 협의가 어느 정도 진전됐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날 새벽 인천공항에 도착한 김 장관은 협상 결과를 묻는 질문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