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주 부진속 주식형 펀드 수익률 급감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9 00:04:11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국내 증시가 대장주인 반도체주 부진 속에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면서 최근 한 달 새 국내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이 눈에 띄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펀드 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 펀드의 1개월 평균 수익률은 -4.75%를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세부적으로 액티브 주식 펀드의 수익률은 -5.15%였고, 인덱스 주식 펀드는 –4.61%였다. 같은 기간 해외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이 2.48%를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특히 이는 한 달 사이 0.98% 내린 코스피 수익률에도 한참 못 미치는 성적이다.

 

이는 반도체 업종의 부진 영향으로 보인다. 국내 증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업종은 업황 부진 우려 속에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다. KRX 반도체 지수는 한 달 사이 4.76% 하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8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50bp(1bp=0.01%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하고 일본은행(BOJ)도 금리를 동결하면서, 국내 증시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예상됐지만 반도체주 부진에 발목이 잡혔다.

 

글로벌 투자 은행 모건스탠리가 추석 연휴인 지난 15일 '메모리-겨울은 항상 마지막에 웃는다'(Memory-Winter Always Laughs Last)는 제목의 반도체산업 보고서에서 일반 D램 가격 하락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 과잉을 이유로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54% 낮춘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외국인 투자자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매도에 나서면서 미국 등 글로벌 증시의 반등 분위기 속에서도 국내 증시는 하방 압력이 지속됐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은 코스피 매도가 아니라 반도체를 매도했다"며 "3분기 반도체 영업이익 전망은 고점 대비 10.1% 하향조정"됐지만, "반도체를 제외한 업종들의 실적 전망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 2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반도체주가 급반등하고 투자 심리가 살아나면서 제자리 걸음을 하던 증시 대기 자금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투자자 예탁금은 지난주까지 51조원대 머물렀으나 26일 기준 54조606억원으로 늘면서 54조원대를 회복한 것으로 금융투자협회는 집계했다.

 

한편, 국내 투자자는 지난 한 달 동안 해외 주식 순매도에 나섰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미국 주식은 2억6096만달러(3428억원), 일본 주식은 5095만달러(669억원), 유로 시장 주식도 362만달러(48억원), 중국 주식은 225만달러(48억원) 각각 순매도 결제했다.

 

순매도 속에서도 국내 투자자는 미국 ICE 반도체 지수를 정방향 3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DIREXION DAILY SEMICONDUCTORS BULL 3X SHS ETF)는 1억1264만6623달러(1484억원) 순매수 결제해 최대 순매수 종목이 됐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더 스타라이트’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1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더 스타라이트’가 정식 서비스 시작 후 하루 만에 국내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게임 1위를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8일 오전 11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더 스타라이트’는 19일 오후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기 순위 정상, 애플 앱스토어에서는 출시와 동시에 인기 게임 순위 3위에 오르며 쾌조의 출발을 보였다.

2

하나은행, '지수플러스 정기예금' 출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대응해 원금은 보장하면서도 정기예금 이상의 높은 수익실현 기회를 제공하는 '지수플러스 정기예금'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지수플러스 정기예금(ELD, Equity Linked Deposit)은 주가지수연동 예금으로 상품의 수익률이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서 결정된다. 중도해지를 하지 않

3

항공보안학회, 2025년도 제2차 항공보안포럼 개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항공보안학회는 19일 ‘항공안전보안 R&D 추진전략 및 항공기내보안 강화방안’을 주제로 2025년도 제2차 항공보안포럼을 일산 킨텍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했다. 포럼 시작에 앞서 학회는 종합미디어 산업분야 선도기업인 엠트리홀딩스와 항공보안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제1부 개회식은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 박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