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POW), ‘라이브 스테이지’로 팬들에 잊지 못할 하루 선물!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5 10:15:1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그룹 파우(POW)가 ‘라이브 스테이지’로 팬들에게 잊지 못할 밸런타인데이를 선물했다.

 

▲그룹 파우(POW)가 밸런타인데이에 팬과 함께 하는 이벤트를 개최했다. [사진=그리드엔터테인먼트]

 

파우(POW, 요치 현빈 정빈 동연 홍)는 14일 오후 8시 서울 상암동 쇼킹케이팝센터에서 밸런타인 스테이지 ‘Will you gimme your love?(윌 유 김미 유어 러브)’를 열고 팬들과 만났다.

 

지난해 11월 23일 데뷔 후 첫 팬 콘서트 ‘POW HOUSE : SWITCH UP(파우 하우스 : 스위치 업)’을 성황리 개최한 파우(POW)는 스페셜 싱글 ‘Gimme Love(김미 러브)’ 발매와 밸런타인데이를 맞아 팬들과 특별한 추억을 만들고자 이번 라이브 스테이지를 기획했다. 셋리스트 역시 자체콘텐츠 ‘스튜디오 파우(Studio POW)’를 통해 공개돼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은 곡들로 구성, ‘팬 맞춤형’ 공연을 완성했다.

 

파우(POW)는 데뷔곡 ‘Favorite(페이보릿)’을 비롯해 ‘Sunset(선셋)’, ‘겨울이 끝나기 전에’, ‘I Will’ 등을 선보였으며, 특별히 오는 17일 발매를 앞둔 스페셜 싱글 ‘Gimme Love’ 무대를 첫 공개해 의미를 더했다. 두 번째 팬송이 될 ‘Gimme Love’는 파우(POW)가 데뷔 후 지난 1년간 묵묵하게 따뜻한 응원과 사랑을 보내준 팬들에 대한 마음을 진정성 있게 담아낸 곡이다.

 

이날 파우(POW)는 자작곡인 ‘Gimme Love’ 탄생 비화를 털어놓으며 팬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파우(POW)는 “‘Gimme Love’는 가장 친한 친구인 파워(팬덤 명)에게 고맙고 깊어진 마음을 음악으로 들려드리고 싶어 만들었다. 남몰래 좋아하던 친구에게 고백하는 마음으로 곡을 썼다”며 “녹음을 하면서도 로맨틱한 느낌을 살리고자 노력했다. 팬들 덕분에 지난 1년이 의미 있고 행복했다. 예쁘게 들어주셨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파우(POW)의 진정 어린 마음이 통한 듯, 팬들은 뜨거운 함성으로 화답했다. 

 

이처럼 파우(POW)는 자신들의 히트곡과 새롭게 발매할 신곡 무대 등 음악을 통한 남다른 팬 사랑법을 보여줬다. ‘성장형 올라운더’로 자리매김 중인 파우는 향후 다양한 노래와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할 예정이다.

 

한편 파우(POW)의 스페셜 싱글 ‘Gimme Love’는 17일 오후 6시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발매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서울창업허브 공덕X스케일업센터, 투자 유치 지원 사업 성료
[메가경제=정호 기자] ‘서울창업허브 공덕과 스케일업센터’(이하 서울창업허브)는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는 ‘제3회 스케일업위크’를 11개 참여기업과 함께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20일 ~ 22일 3일 간 열린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위크’는 보육기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 멤버십(VC, AC, 투자 유관기관

2

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디야커피가 글로벌 관광객의 결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위챗페이(WechatPay), 알리페이플러스(Alipay+), 유니온페이(UnionPay), 라인페이(Line Pay) 4종의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전국 가맹점에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는 이날 순차 적용되며, 외국인 관광객들은 본인 국가에서 사

3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 서진학교 나눔마켓 수익금 전액 기부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중앙연구소는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특수학교인 서울서진학교에 주니어보드가 자발적으로 기획한 나눔마켓의 수익금 전액을 전달하고, 서진학교 재학 아동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냠냠연구소’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는 MZ세대 직원으로 구성됐으며 사내 기업문화 혁신과제 도출 및 실행과 경영진과 직원 간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