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투어 여행이지, 청주 출발 수요 전년대비 490% 증가…지방 출발 상품 라인업 확대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7-30 08:40:51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교원투어 여행이지가 늘어나고 있는 지방 출발 수요에 맞춰 지방 상품 라인업 확대에 나선다.


여행이지의 올 상반기 지방 출발 상품 송출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청주가 490% 뛰면서 지방공항 활성화를 견인했고, 부산은 31% 늘었다. 

 

▲ 교원투어 여행이지, 청주 출발 수요 전년대비 490% 증가

올 들어 지방 출발 수요가 증가한 것은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일본과 동남아, 중국, 몽골 등 신규 노선 취항에 맞춰 관련 상품을 공격적으로 선보인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지방에서 출발하는 상품이 늘어나면서 거주지에서 가까운 공항 이용을 통해 더욱 편하게 패키지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청주의 경우 청주국제공항이 있는 충청권을 비롯해 경기 남부와 강원도 수요를 흡수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여행이지 관계자는 “청주공항의 국제선 노선 증가와 맞물려 청주 출발 상품 예약 건수와 문의가 급증했다”며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청주 출발 수요에 대응해 상품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여행이지는 주요 지방공항의 노선과 수요 등을 고려해 상품 라인업을 지속해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한 청주는 여름 휴가철과 추석 연휴를 겨냥해 여행객 사이에서 떠오르고 있는 푸꾸옥 상품을 내놨다. 일본 접근성이 뛰어난 부산의 경우 도쿄와 나고야, 마쓰야마 상품을 각각 선보였다.

여행이지는 접근성이 더욱 좋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발리에 주목하고 있다. 부산~발리 노선과 청주~발리 노선이 각각 취항을 앞두고 있는데, 여행이지는 해당 노선 취항에 맞춰 발리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상품을 다양하게 준비해 선보일 예정이다.

여행이지 관계자는 “신혼부부와 MZ세대 고객 유입을 늘리기 위해 지방공항을 이용하는 허니문 상품과 자유여행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많은 고객이 인천공항에 가지 않고도 편하게 해외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상품 접근성과 편의성을 지속해서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여행이지는 지방 출발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난 1월 부산지사를 포함한 영남사업팀을 신설한 바 있다. 영남사업팀에서 항공 공급석 확대에 맞춰 선호도가 높은 일본과 베트남, 중국, 대만 상품을 선보이며 고객 편의를 높이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독사과2', MZ세대도 사로잡은 '찐 리얼' 예능의 힘 증명 '화제성↑'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리얼 연애실험실 독사과’가 시즌2로 돌아와 안방극장에 신선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11월 1일 첫 방송한 SBS Plus, Kstar ‘리얼 연애실험실 독사과’(이하 ‘독사과’) 시즌2는 2주 연속 시청률과 화제성을 사로잡으며 ‘리얼 연애 예능 끝판왕’의 성공적 귀환을 알렸다. 더욱 맵고 독하게 돌아온 ‘독사과’가 MZ 세대까

2

3세대 아이돌 트와이스, 시미픽 글로벌 투표에서 1위… 글로벌 팬심 재점화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AI 챗봇 ‘심심이(SimSimi)’를 기반으로 200여 개국에서 운영 중인 글로벌 아이돌 투표 서비스 ‘시미픽(SimiPick)’에서 3세대 아이돌 그룹 트와이스(TWICE)가 전 세계 팬들의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데뷔 이후 ‘Cheer Up’, ‘TT’, ‘Likey’ 등 히트곡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걸그룹으로

3

펄어비스, 3Q 매출 1068억 기록…전분기比 34.3%↑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펄어비스는 올 3분기에 매출 1068억원, 영업이익 106억원, 당기순이익 290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34.2%, 전년동기 대비 34.3%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검은사막 대규모 업데이트 효과에 따른 게임 매출 증가 및 외환 환산 이익 등으로 흑자 전환했다.3분기 ‘검은사막’은 신규 클래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