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생물다양성 보전 분야 투자 확대 앞장설 것"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5-24 08:46:15
  • -
  • +
  • 인쇄
탄소중립 및 생물다양성 보전 노력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유엔 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UNEP FI)아태지역 라운드테이블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분야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된 유엔 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Finance Initiative) 아시아·태평양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아태 지역의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생물다양성 분야 투자 확대'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하나금융그룹은 24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유엔 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Finance Initiative) 아시아·태평양 라운드테이블'에서 아태 지역의 지속가능금융을 위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생물다양성 보전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정책 수립 및 투자 확대 등에 대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하나금융지주]

 

 

UNEP FI는 금융회사의 경영활동이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목표로 유엔 환경계획과 전 세계 450개 이상의 금융회사가 참여하고 있는 국제적인 이니셔티브로, 24일 오전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이번 UNEP FI 아시아·태평양 라운드테이블은 아태지역의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선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팬데믹과 자원고갈 등의 이슈로 '생물다양성' 영역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올해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NFD), 생물다양성 회계금융연합(PBAF)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며,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생물다양성 보전 분야'에 대한 정책 수립 및 투자 확대를 통해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금융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어 “급속도로 진행된 디지털 전환으로 지역적, 국가적 경계가 허물어지며 금융회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범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며, “하나금융그룹은 금융의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환경과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도 책임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투자와 공동의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의 후원사인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007년 UNEP FI에 가입하고 2018년에는 UNEP FI의 글로벌 30개 금융회사로 선발되어, 파리기후변화협약과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이행을 위해 은행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한 UNEP FI 책임은행원칙(Principles for Responsibility Banking) 제정사(Founding Bank)로 사업에 참여했다. 또한, 2019년에는 UNEP FI 책임은행원칙 서명기관으로 가입하는 등 UNEP FI의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활동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2021년을 ESG 경영의 원년으로 공표하고, 미래를 위한 그룹의 큰 발걸음을 모티브로 한 ‘Big Step for Tomorrow’라는 ESG 비전을 수립했다. 특히, 지난해 4월에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그룹 내 사업장의 탄소배출량 Zero와 그룹 자산포트폴리오 탄소배출량 Zero를 목표로 그룹의 ‘2050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이사회 산하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결의한 바 있다. 더불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외부적으로는 이해관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UNEP FI 책임은행원칙의 대표적인 기후변화 관련 이니셔티브인 ‘넷제로은행연합(NZBA)’에도 이름을 올렸다.

하나금융그룹은 "앞으로도 탄소중립 실현 및 최근 강조 되고 있는 생물다양성 이슈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글로벌 ESG 선도 금융그룹으로서 지속가능한 금융 실천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양레저,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도 내부 감사 기능 부실 논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동양레저는 경기도 안성 파인크리크CC(27홀)와 강원도 삼척 파인밸리CC(18홀) 등을 운영하고 있는 레저 회사로 최근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 몰린 가운데, 회사 내부의 감시 시스템마저 유명무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27일 업계에 따르면, 동양레저는 핵심 사업장인 골프장 2곳이 매물로 나올 것으로 보여 사업

2

CARLYN(칼린), 티몰이 뽑은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수상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예진상사의 디자이너 브랜드 칼린(CARLYN)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 티몰(Tmall)이 주관하는 신흥 브랜드 육성 프로그램에서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중국 시장에서 칼린이 거둔 성과와 함께,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티몰은 2025년부

3

“홈플러스는 농협이 인수해야 맞는 시나리오”…10년전 정용진 신세계 회장 발언 주목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홈플러스 인수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27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과 노동계에서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회자되고 있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