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몬, '노쇼 방지 서비스' 효과 톡톡... 사업주와 알바생 간 신뢰 커져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5-09 09:21:43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대표 윤현준)이 자사 ‘노쇼 방지’ 서비스의 최근 6개월 성과를 발표했다. 서비스 출시 이후 최근 반년간 ‘면접 제안’ 공고 수와 ‘면접 제안’ 건 수가 각각 297%, 417% 증가하며, 사업주와 알바생 간 신뢰 기반의 근로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바몬에 따르면, 2024년 9월 서비스 출시 이후 2025년 4월까지 면접 제안 기능을 활용한 누적 공고 수는 187,455건에 달했다. 이는 2024년 11월까지 기록한 누적 6만 3천여 건에서 약 297% 증가한 수치로, 알바몬의 노쇼 방지 서비스가 급격히 확산된 결과로 풀이된다.
 

▲ 알바몬이 ‘노쇼 방지’ 서비스의 최근 6개월 성과를 발표했다

같은 기간 동안 면접 제안 건 수는 504,287건을 기록, 2024년 11월 기준 누적 12만 건 대비 약 417% 증가했다. 알바몬이 면접 일정 조율을 비대면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고, 노쇼 사전 예방 효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알바몬의 면접 제안 기능은 카카오 알림톡을 통해 면접 일정을 제안하고, 지원자가 일정 변경이나 취소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기능은 D-3, D-1 등의 리마인드 알림으로 지원자와 사업주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평균 응답률은 70%, 일정 확정은 2시간 이내로 빠르게 이뤄진다. 최단 1분 만에 일정 협의를 완료한 사례도 있었다.

알바몬의 노쇼 방지 서비스는 사업주와 구직자 간의 신뢰를 구축하며 알바 채용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알바몬은 실시간 채팅, 참석 독려 알림, 노쇼 신고 기능 등을 통해 채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기수란 알바몬 신사업실 실장은 “노쇼 방지 기능에 대한 사업주들의 수요가 커짐에 따라 사용률이 급증했다”며, “앞으로도 구직자와 사업주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건전한 알바 채용 문화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업계 최초 AI 주문 기능 도입”... 꽃파는총각, 홈페이지 리뉴얼 및 오픈 이벤트 진행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꽃배달 전문 브랜드 꽃파는총각(플라시스템)이 국내 꽃배달 업계 최초로 AI 주문 기술을 도입하고, 공식 홈페이지를 전면 리뉴얼 오픈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AI 주문 기술은 고객이 청첩장이나 부고장의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URL을 전송하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내용을 분석·인식해 상황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이다.

2

코레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국제 친환경인증(LEED)’ 업무협약 체결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미국 그린빌딩협회(이하 USGBC)’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지역단위 친환경인증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USGBC는 186개국에서 활용되는 친환경 평가인증 체계인 ‘LEED’를 주관하는 글로벌 인증 기관이다. LEED는 건물이나 도시·지역단위로 부여

3

국가철도공단, 탄소중립 실현 위한 ‘SBTi 인증 본격 추진’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탄소배출 관리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 인증을 본격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는 기업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