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헬스케어, 항암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日 점유율 50% 돌파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8-11 10:00:31
  • -
  • +
  • 인쇄

셀트리온헬스케어가 판매하는 셀트리온 항암 바이오시밀러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일본 시장에서 절반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며 오리지널 약 판매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허쥬마가 올해 6월 기준 일본 시장점유율 51%를 기록해 오리지널 의약품인 '허셉틴'을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 


허쥬마는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다.

 

 

▲ 허쥬마 [사진 셀트리온헬스케어 제공]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허쥬마가 일본 트라스투주맙 시장에서 1위에 오른 이유로 가장 먼저 출시된 '퍼스트무버(First mover)'인 점과 함께 글로벌 처방이 확대되면서 입증된 제품 신뢰를 꼽았다.

특히, 지난 2019년 8월 일본 유방암 시장의 90%가 넘는 3주요법 적응증 허가를 경쟁사보다 먼저 획득하면서 허쥬마가 시장 선점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분석된다.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따르면 트라스투주맙 성분 의약품은 유방암 환자에 연간 52회 투여하는 '1주요법' 또는 18회 투여하는 '3주요법'으로 쓰이는데, 일본에서는 3주요법으로 처방하는 환자가 90% 이상이다.

셀트리온헬스케어 일본법인과 유통 파트너사인 니폰 카야쿠(Nippon Kayaku)가 강점을 지닌 서로 다른 채널에 제품을 공급하는 전략 역시 허쥬마의 성장을 이끌어 낸 원인으로 전해졌다.

 

▲ 허쥬마 일본 시장점유율 추이 [셀트리온헬스케어 제공]


일본에서 허쥬마의 성장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올해 6월 발표한 '경제재정 운영과 개혁의 기본방침 2021'에 바이오시밀러 사용 촉진 방안을 넣는 등 우호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일본 정부의 정책 변화가 실제 처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온라인 학회, 의료진 대상 제품 교육 및 홍보 확대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전개할 방침이다.

허쥬마와 함께 일본에서 판매 중인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도 2분기 기준 시장 점유율 20%를 돌파하며 처방이 확대되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일본에서의 성과를 비롯해 최근 발표된 브라질 허쥬마, 트룩시마
입찰 수주 등 미국, 유럽을 넘어 글로벌 전역으로 셀트리온그룹 의약품의 영토가 확장되고
있다”며 “기존 제품들의 성과를 발판 삼아 램시마SC,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 등 후속
제품들 역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AIST 기술 담은 '그래비티 삼푸', 미국 아마존 론칭... 북미 시장 공략 잰걸음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KAIST 연구진이 설립한 폴리페놀 팩토리(대표 이해신)의 기능성 헤어케어 브랜드 ‘그래비티(grabity)’가 27일 미국 아마존을 통해 북미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이번 론칭 라인업은 ‘grabity g0.0 헤어 리프팅 샴푸’를 포함한 4종으로 구성됐다. 회사는 연내 틱톡샵(TikTok Shop) 직영관을 열고, 온라인 중심의

2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3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