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 40% 치료 1년 내 약 중단…전문의 진료 여부·지역 격차가 변수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3 10:15:03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국내 치매 환자 10명 중 4명 이상이 치료 시작 후 1년 이내 약 복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복약 지속 여부에는 전문 진료 여부와 지역 격차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신경과 이영건 교수 연구팀은 2018~2020년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 50만8,958명의 건강보험 진료 기록을 분석한 결과, 치매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44%가 1년 내 복용을 중단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중 30%는 치료 시작 후 3개월도 되지 않아 약을 끊었다.
 

▲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신경과 이영건 교수가 환자를 진료하고있다. 

치매 치료제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등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와 메만틴 계열의 NMDA 수용체 차단제가 대표적이다. 이들 약물은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데 목적이 있어 복약 중단은 환자의 증상 악화 속도와 직결된다.

연구에 따르면 ▲여성 ▲65~74세 ▲의료급여 수급 여부 ▲진료과가 복약 순응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었다. 특히 비전문 진료 환자는 신경과·정신과 전문 진료 환자보다 복약 중단 위험이 1.6배 높았다. 또 1·2차 병원 진료 환자는 상급종합병원 환자에 비해 2배 이상 중단 위험이 컸다.

지역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서울에서 전문 진료를 받은 환자에 비해 지방 환자의 복약 중단 위험은 최대 75%까지 높았다. 연구팀은 “환자 당 병원 수보다는 전문의 수 분포가 복약 지속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이영건 교수는 “치매 치료는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꾸준한 복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초기 3개월간 전문의 진료와 보호자의 관심이 순응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복약을 중단할 경우 인지 기능 저하가 가속화될 수 있어, 의료진과 보호자가 긴밀히 협력하는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최태원 회장 "운영개선과 본업 지식 쌓아야 AI 선점"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최태원 SK 회장과 최고경영자(CEO)들이 각 사가 추진하는 사업의 운영개선(Operation Improvement, ‘O·I’)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메모리반도체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을 기반으로 다가오는 AI 시대 주도권 확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또한, 구조 재편을

2

세라젬, CES 2026서 9개 제품으로 12개 혁신상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세라젬이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6’에서 AI·스마트홈·디지털헬스·뷰티테크·푸드테크·가전 등 6가지 영역에 걸쳐 총 9개 제품으로 12개의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CES 혁신상은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가 기술력·디자인·혁신성을 종합 평가해 수여하는 글로벌 어워드로, 세라젬은 2024년부터 참여를

3

에어프레미아, 내년 1월 라스베이거스 특별전세기 띄운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어프레미아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행 특별전세기를 운항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전세기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가 열리는 시기에 맞춰 기획된 것으로, 행사 참석객은 물론 미국 서부 관광을 계획하는 여행객에게도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운항일정은 1월5일 밤 10시10분 인천국제공항 출발해 같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