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바이오 ‘세레브레인’, 오리지널 의약품 수입액 추월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4 10:30:26
  • -
  • +
  • 인쇄
뇌기능장애 개선제 시장 ‘1위’ 정조준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국산 뇌기능장애 개선제 ‘세레브레인’이 오리지널 의약품의 수입액을 넘어서는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 1위 등극을 노리고 있다.


대웅바이오(대표 진성곤)는 자사 뇌기능장애 개선 주사제 ‘세레브레인주’의 국내 생산 실적이 61억 원을 기록, 오리지널 의약품의 수입액(56억 원)을 넘어섰다고 24일 밝혔다.
 

▲ 대웅바이오 ‘세레브레인’, 오리지널 의약품 수입액 추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세레브레인은 2021년 정식 출시 이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해까지 연평균 성장률 78.8%를 기록했다. 대웅바이오는 올해 매출 80억 원, 내년 1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성모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으로 처방 기관이 확대되고 있다.

세레브레인은 돼지뇌펩티드 성분의 주사제로, ▲알츠하이머병 및 혈관성 치매 ▲뇌졸중 후유증 ▲외상성 뇌손상(뇌진탕·뇌좌상) 등 뇌기능장애 개선에 사용된다. 해당 성분은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와 유사하게 작용해 손상된 신경세포의 재생을 돕고 뇌기능 회복을 촉진한다.

대웅바이오는 경쟁사와 차별화된 10ml·20ml 두 가지 용량 라인업으로 처방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20ml 제품은 동일 용량 대비 약 30% 저렴해 환자 부담을 줄였다. 회사는 이달 내 30ml 제형도 추가 출시할 계획으로, 투약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세레브레인은 바이알(Vial) 용기 형태로 제작돼 유리 파편 혼입 우려가 있는 앰플 대비 투약 안전성이 높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유영기 대웅바이오 마케팅본부장은 “세레브레인은 폭넓은 적응증과 제형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며 “환자 중심의 제형 개발을 통해 뇌건강 개선 분야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병도 의원, ‘약자와의 동행’없는 서울시 미래교통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서울시가 ‘약자와의 동행’을 기치로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교통약자는 탑승조차 어려운 구조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서울시가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 17대 중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은 6대(35.3

2

현대로템, 美 쉴드AI와 기술개발 업무협약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현대로템이 방산 부문의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Shield)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3

현대해상, ‘아이마음 놀이터’ 건립·운영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현대해상화재보험은 영등포구청, 사회적기업 코끼리공장, 사단법인 루트임팩트와 ‘어울숲 문화쉼터×아이마음 놀이터’ 건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이마음 놀이터’는 현대해상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추진하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지자체와 협력해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열린 커뮤니티 공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