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국내 첫 ICT융합 전기추진 선박 상용화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11-29 11:38:33
  • -
  • +
  • 인쇄
한국조선해양 전기추진선의 핵심 설비

현대중공업그룹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선박용 전기추진솔루션의 국내 최초 상용화에 성공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울산시‧울산정보산업진흥원과 협력해 친환경‧고성능 전기추진솔루션(Hi-EPS)을 탑재한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을 성공적으로 건조하고 29일 명명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의 시운전 모습 [사진=현대중공업 제공]

 

이날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 열린 명명식에는 김형관 현대미포조선 사장, 김두겸 울산시장, 송현주 산업통상자원부과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에 탑재한 전기추진솔루션은 한국조선해양이 개발한 전기추진선의 핵심 설비다. 직류 기반 LNG 이중연료(DF) 엔진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바탕으로 엔진 가변속 제어 및 에너지 최적 제어시스템 등 저탄소‧고효율 기술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8월‧10월, 2차례의 해상 시운전을 통해 기존 선박용 디젤 엔진보다 운항 중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40%가량 저감하고 연료 효율은 6% 개선했다. 이산화탄소 저감량은 자동차 100대의 배출량에 달하는 수치다.

또한 이번에 개발한 LNG DF 엔진은 기존 엔진보다 100배가량 빨라진 1/1000초 단위로 발전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성능을 강화했다.

이 솔루션은 운항 환경과 속도에 따라 배터리로만 추진하는 ‘제로 이미션(Zero Emission)’, 엔진으로 추진하는 ‘일반 항해’, 엔진과 배터리를 모두 사용하는 ‘부스팅’ 등 3가지 모드를 선택해서 운영할 수 있다.

특히 현대중공업그룹의 전기추진솔루션은 최근 기술력‧혁신성을 인정받아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로부터 ‘CES 2023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대중공업그룹 관계자는 “그동안 해외 업체들로부터 공급받아온 전기추진 솔루션을 독자 개발해 해상 실증‧인도‧명명식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나아가 대형선용 기술까지 확보해 전기추진 선박 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전기추진솔루션이 탑재된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은 최대 선속 16노트(29.6km/h)로 운항이 가능한 2700톤급 선박이다.

울산시는 내달까지 운영 시운전을 마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기자재 실증 테스트와 교육, 관광 목적 등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최태원 SK 회장 "AI 발전은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서 시작"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을 두 축으로 하는 인공지능(AI) 전략을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AI 발전 모델로 제시했다. SK그룹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AI’를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

2

해태제과, '에이스데이' 맞아 대학 캠퍼스에 에이스 나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해태제과가 오는 10월 31일 ‘에이스데이’를 맞아 고객에게 사랑의 마음을 전하는 전국 순회 커피차 이벤트를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에이스가 직접 캠퍼스를 찾아가 대학생 고객들에게 에이스와 커피를 나눴다. 지난해에는 서울 소재 대학에서만 진행했지만 올해는 지방 대학까지 확대해 10곳의 학교에서 총 3000개의 에이스와 커피를 전했

3

오뚜기, 제주 숙성도와 라면 한정 메뉴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제주 대표 숙성 흑돼지 브랜드 ‘숙성도’와 함께 ‘오뚜기 라면’을 주제로 한 특별 F&B 협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내년 4월 28일까지 진행되며, 제주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신선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한정 컬래버레이션이다. 숙성도 제주 본점·중문점 2곳에서 오뚜기 라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