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주가조작 혐의 김태섭 전 바른전자 회장 무죄 확정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7-20 13:01:03
  • -
  • +
  • 인쇄
주가조작·부당이익·업무상배임 혐의는 모두 항소심 판결 대로 무죄 확정
경영권 분쟁중 일부 혐의만 유죄인정...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벌금 5백만원

대법원 제2부(대법관 이동훈)는 지난달 24일 자본시장법 위반과 업무상 배임 혐의로 기소된 김태섭 전 바른전자 회장에 대하여 주요 혐의 대부분을 무죄 판단한 항소심 판결을 확정했다.

경영권 분쟁 중 백기사 활동 일부 혐의만 유죄가 인정돼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에 벌금 5백만원도 확정됐다.

이로써 김 전 회장은 4년여 간의 지루한 법정공방을 모두 끝냈다.

1988년 대학시절 창업, 시가총액 1조 벤처 신화 일군 주인공

▲ 김태섭 전 바른전자 회장.

김 전 회장은 반도체 전문기업 바른전자 경영인이다. 2008년 이 회사 대표로 취임한 후 한해 2천억 이상을 수출할 정도로 고속 성장시켰다. 그러나 2017년 이 사건 주가조작 등에 연루되며 검찰조사를 받았고 결국 2018년 11월 구속됐다.


1심은 검찰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드렸다. 김 전 회장은 징역 5년에 벌금 5억원을 선고 받았다.


하지만 항소심 판단은 달랐다. 2015년 주가급등 당시 회사의 중국사업이나 보도자료에 어떠한 허위나 과장, 위계가 없었다고 판단했다.


김 전 회장 측근에 따르면, 무엇보다 김 회장은 부당이익을 얻은 바가 없었다. 검찰이 발표한 189억 부당이익은 이 사건 주가 급등 당시 김 회장이 보유한 바른전자 지분에 대한 평가차익일 뿐이었다.

김 전 회장의 구속 후 회사는 상장폐지 위기 등 큰 타격을 입었고 결국 2019년 7월 상장사 2곳을 포함한 관계사 모두가 매각되는 비운을 겪었다.


김 전 회장은 1988년 대학시절 창업해 2010년 시가총액 1조 원의 벤처신화를 일군 주인공이다.
특히 국내 대표적 ICT(정보통신기술) 전문가로 그가 저술한 ‘규석기시대의 반도체’는 출간 당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대학 전공교제로 채택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그룹 외형이 5300억원에 이르며 주 제품인 마이크로SD카드의 경우 세계시장 점유율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2017년 이 사건 등에 연루되며 실적이 급격히 추락했고 30여년 경영기업이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에 몰락했다. 김 전 회장은 2020년 6월 항소심 판결까지 무려 19개월간 구치소에 수감됐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