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보험협회, ‘특수건물 화재통계 · 안전점검 결과 분석’ 발간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5 13:05:26
  • -
  • +
  • 인쇄
데이터 분석을 통한 특수건물 화재 특성 및 추세 파악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화재보험협회는 ‘2023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을 발간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
2023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 소재한 특수건물 5만3730건에서 2만774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화재 발생률은 5.16%로 전년 5.09%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명피해가 발생한 화재는 174건으로, 17명이 사망하고 316명이 다쳤다. 전년 사상자(사망 22명, 부상 199명) 대비 43.0% 증가했으며, 아파트 및 숙박업소에서 발생한 화재로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명피해는 대상타운현대아파트(32명), 인천 그랜드팰리스호텔(13명), 대구 학잠동아파트(12명) 등이다. 

업종별 화재 발생 건수는 아파트가 1,316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장(766건), 11층 이상 건물(291건)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화재 원인은 부주의(36.1%)로 나타났으며, 전기적 요인(33.3%)과 기계적 요인(13.0%)이 뒤를 이었다. 부주의로 발생한 화재 가운데 담배꽁초를 무심코 버린 경우(30.4%)와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일어난 실수(18.3%)가 다수를 차지했다.

재산 피해는 2,9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878억 원이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공장(93.2%), 아파트(3.2%) 화재가 피해액 대부분을 차지했다. 화재 1건당 재산피해액은 1억여 원(107,400천원)을 웃돌아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특수건물 방화시설 상태를 수치화한 양호율(안전점검 결과 100점 중 90점 이상 속한 비율)은 평균 78.0%로 전년(77.3%) 대비 소폭 개선됐다.


협회 관계자는 "특수건물 화재 분석 결과, 대형화재로 인한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산업의 고도화와 건축물의 대형화로 인해 다양한 화재 위험이 잠재되어 있으며, 고가의 설비 증가로 인해 화재 사고 피해액이 증가하고 있는 결과로 분석된다”며, “협회는 일반손해보험 플랫폼 BRIDGE를 통해 데이터 분석과 위험관리 정보를 제공해 손해율 저감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