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국에 '비관세 장벽' 해소 공식 요구… 소고기·쌀 등 포함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5 13:45:19
  • -
  • +
  • 인쇄
25% 상호관세 면제 협상도 본격화… 대선 이후 차기 정부가 협상 주도 전망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미국이 한국을 상대로 소고기·쌀 수입 규제, 구글 정밀지도 반출 제한 등 각종 비관세 장벽 해소를 공식 요구하면서 협상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협상은 대선 이후 출범하는 차기 정부가 이어받을 것으로 보인다.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6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면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5일 정부 등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20~22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국장급 관세 기술 협의에서 한국 측에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에서 주장했던 특정 농산물 등 다수의 비관세 장벽 해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지난 3월 NTE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30개월 미만 소 수입 제한 조치, 구글의 정밀지도 데이터 반출 제한, 수입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무기 도입 시 기술 이전 요구 조건 등을 비관세 장벽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은 2008년 한미 간 소고기 시장 개방 합의 당시 한국이 ‘과도기적 조치’로 30개월 미만 소만 수입하겠다고 했음에도 이 조치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점을 문제 삼았다. 육포와 소시지 등 가공식품의 수입 금지도 거론했다. 

 

쌀의 경우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조치 관련 행사장에서 직접 한국의 높은 관세율에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 현재 한국은 미국쌀에 대해 TRQ(저율관세할당)를 통해 연간 13만2,304톤에는 5%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를 초과할 경우 513%의 고율 관세를 매기고 있다.

 

정부는 향후 협상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미국 측이 언급한 여러 요구 중에서 관철 의지가 강한 우선순위를 분석·식별하는 데 주력해 협상을 이어받을 차기 정부에 넘기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미국산 수입 확대를 통한 무역 균형 추구 의지와 미국 측이 절실히 도움이 필요한 조선 중심의 전략적인 한미 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25% 상호관세와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품목 관세를 면제받거나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미국의 요구 다수가 민감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본격적인 협상은 6월 3일 대선을 거쳐 출범할 차기 정부가 이어받게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승민 기자
신승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3Q 매출 1601억 기록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올 3분기에 매출 1601억원, 영업손실 194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RPG,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을 토대로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증가한 5129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 9월 말 신작 출시를 앞두고 진행된 사전 마케팅 비용 등의 영향으로 3분기 영업이익은 감

2

에이에스이티-포엠일렉트로옵틱, 이차전지용 부품 베트남 수출 '업무협약'
[메가경제=정호 기자] 차세대 이차전지용 전고체전해질막 전문기업 에이에스이티가 본격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다. 에이에스이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포엠일렉트로옵틱 비나(4M Electro Optics Vina)와 전고체전해질막 제품의 현지 진출 및 전동화 산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은 양사 주요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

3

NH농협은행, '올원×페이스페이' 경품 이벤트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오는 30일까지 NH올원뱅크에서 '올원뱅크+토스 페이스페이=?'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올원×페이스페이'는 얼굴과 결제수단을 미리 등록하면, 실물카드나 휴대폰 없이도 얼굴 인식만으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간편 결제 서비스다. 이번 이벤트는 신규로 가입하고 결제 수단을 NH농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