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길신의 驛史(역사) 이야기 6화] 철원역

편집국 / 기사승인 : 2023-06-28 13:47:51
  • -
  • +
  • 인쇄
아직도 전쟁의 상흔 그대로 간직한 역…현재 백마고지역 이름만
1924년 8월1일 철원~금화 간 28.8㎞ 최초 전기철도 운행 시작

[메가경제=편집국] 어느덧 6.25전쟁 73주년을 맞으면서 아직도 전쟁의 상흔을 그대로 간직한 채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북쪽에서 악몽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는 철원역의 역사를 찾아보기 위해 먼저 철원의 역사를 살펴보면 고구려 시절 철원군(鐵原郡)으로 시작되어 신라는 철성군(鐵城郡)으로 고쳤다. 

 

▲ 철원역 터

 

고려 태조는 동주(東州)라 한 후 충선왕 2년(1310년)에 철원부로 하였다가(세종실록 지리지), 세종 16년(1434년) 경기도에서 강원도로 이관되고, 고종 32년(1895년) 춘천부 철원군을 거쳐, 1896년 강원도 철원군으로 변경되었다.


▲ 경원선 철도선로 측량대

 

철도는 1896년 프랑스 Fives Lile사의 경성~원산 간 경원철도 부설권 신청을 불허된 후 1899년 일본과 독일의 부설권 요구도 거절, 1899년 동소문(혜화문)~양주 간 선로측량을 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중단된 후 1904년 일제가 군용철도 부설을 결정하고 측량에 착수했디. 1905년 착공했으나 9월 한강 대홍수로 중단된 후 1906년 재차 기공하였으나 임시군용철도감부 업무가 총독부 철도국으로 이전되면서 중지됐다.  

 

이후, 1910년 10월 공사가 시작되어 1912년 10월 용산~철원 간, 1914년 8월 16일 원산까지 222.7㎞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중대리발전소 

철원역이 주요 역으로 변화된 것은 철도 건설로 돈을 번 일본 기업인 구메다미노스케(久米民之助)가 1918년 4월 철원에서 금강산까지 자동차로 이동하면서 이 지역에 수력발전소를 건설하면 전기철도 운행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1919년 8월 11일 철원~내금강 간 전기철도 부설 허가를 받은 후 1923년 11월 중대리수력발전소 1호기 준공으로 1924년 8월 1일 철원~금화 간 28.8㎞에 최초의 전기철도 운행을 시작했다. 

 

더욱이 1925년 중대리발전소 2호기에 이어 1927년 판유리, 1928년 향천리, 1936년 신일리 발전소까지 준공하여 금강산전기철도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한 것이다.

 

▲경원선과 금강산선

 

1931년 7월 1일은 철원~내금강 간 28개 역 116.6㎞ 전 구간이 전기철도(DC 1,500V)가 개통됐으며, 경사가 심한 단발령~말휘리 간은 스위치백으로 운행되었으나, 1944년 전쟁물자 부족으로 광분하던 일제의 선로공출 명령으로 창도~내금강 간 49km 선로가 철거됐다. 

 

6.25 전쟁 중에는 전 구간이 폐선되었으며, 필자는 2004년 금강산 여행 중 폐선된 전기철도 선로를 촬영하려다 북한 감시원에게 제지당했던 기억이 남아있다.

 

▲1934년 철원~내금강 열차시각표

 

금강산전기철도의 개통에 따라 철원역의 이용객과 화물수송량 급증으로 1928년 말부터 1929년 7월까지 당시 경원선에서 가장 큰 역사로 신축되었으며(1929. 03. 20일 부산일보), 역 구내를 횡단하는 육교(과선교) 가설 등 급격히 성장하였다.

 

▲철원역 구내 전기철도

 

수학여행 단체는 물론 서울에서 퇴근 후 경원선 열차로 철원역에 도착, 전기철도로 내금강 역까지 가서 부근 호텔이나 여관 등에서 묵고, 다음날 내금강-비로봉-외금강-삼일포-해금강을 구경한 후 장전항에서 여객선을 이용하여 원산에서 경원선 열차를 타면 다음 날 출근이 가능하여, 이용하는 직장인이 늘었다고 한다.

▲철원 금강산전기철도 교량에서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동시에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철원군 전역이 공산 치하에 들어감에 따라 50,000여 평 부지에 80여 명의 직원이 배치되었던 철원역도 북쪽으로 포함된 후 6.25 전쟁으로 철원역은 폐역되고 민통선 북쪽에 역의 흔적만 남았다. 남쪽에는 금강산전기철도 교량만이 남게 되어 2004년 9월 4일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후 관광용으로 보수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또한 6.25 전쟁 중에 국군의 북진에 따라 일부 지역이 수복되었으며, 2007년에 신탄리역에서 끊긴 경원선을 옛 철원까지 복원하는 것으로 계획되었지만 옛 철원역 지역이 민통선 이북인 관계로 민통선 이남인 대마리에 2012년 11월 신설 역명을 철원역으로 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백마고지역

 

하지만 철원은 옛날 철원역이 복원되어야 한다는 철원군민들의 생각 때문에 철원역과는 별개인 백마고지역으로 이름이 정해지기도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손명수 의원 “승객 안전 위해 철도 궤도 개량·기술 개발 서둘러야”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시속 300km로 달리는 고속열차에 철도 바닥의 자갈이 튀어 유리창이 깨지는 사고가 해마다 100건 안팎으로 발생하면서, 열차 지연과 막대한 유지보수 비용 지출은 물론, 승객 안전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손명수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용인시을)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

NC소프트, 블레이드 & 소울 NEO 업데이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엔씨소프트는(이하, NC소프트) 블레이드 & 소울 NEO(이하, BNS NEO’가 서비스 1주년 기념 ‘All in 1’ 업데이트를 22일 진행했다고 밝혔다. BNS NEO는 IP 최초로 12인 레이드 ‘검은 마천루’를 선보인다. 검은 마천루는 최고 난도의 레이드로 영웅 등급 이상의 보상을 제공한다. 이용자는 레이드 도전을

3

컴투스, 더 스타라이트 신규 PvP 던전 ‘투사의 전당’ 추가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더 스타라이트’에 신규 던전 ‘투사의 전당’을 업데이트했다고 22일 밝혔다. 새로 추가된 던전 ‘투사의 전당’은 여러 차원의 전사들이 모여 최고의 투사를 가리던 고대 투기장으로, 중·고레벨 유저들이 한데 모여 충돌이 적용된 실시간 전투를 펼치는 PvP 중심의 던전이다. 또 다른 PvP 던전인 ‘별의 낙원’ 진입 전, 모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