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길신의 驛史(역사) 이야기

Search: 32건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32화] 빅토리아 여왕과 빅토리아역
편집국 2025.05.29
[메가경제=편집국] 앞서 31화에서 인도 차트라파티 시바지 역이 빅토리아역으로 시작되었다고 했는데 당시 인도 빅토리아역은 영국에 이은 두 번째 빅토리아역으로 차트라파티 시바지 역으로 개명되기 전 1996년까지는 런던과 뭄바이에 각각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31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차트라파티 시바지’ 역
편집국 2025.04.29
[메가경제=편집국] 200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차트라파티 시바지(Chhatrap- ati Shivaji)역은 인도 최대도시이며, 경제도시인 뭄바이에 1853년 개업한 보리반다르역을 1887년 개축하여, 빅토리아역으로 준공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30화] 세상 끝 열차 이야기
편집국 2025.03.25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세상의 마지막 기차역’은 일본의 작가 무라세 다케시(村瀨健)가 2014년 7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연재한 소설 ‘니시유이가하마 역의 신(西由比ケ浜驛の神樣)’을 김지연씨가 번역한 소설 속의 열차 사고 지점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9화] 아름다운 역(驛) 포르투갈 상벤투역 이야기
편집국 2025.02.21
[메가경제=편집국]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의 관점이나 개성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어 특정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사람들이 공감하는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역으로 중앙선의 화본(花本)역이 꼽히고 있다. 화본역은 1938년 12월 1일 개통한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8화] 가장 낮은(깊은) 역(驛)
편집국 2025.01.17
[메가경제=편집국] 한국에서 가장 낮은(깊은) 역은 2023년 7월1일 개통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김포공항역으로 지하 83m에 위치하여 승강장에서 국내선 출발장까지는 16~17분, 국제선 출발장까지는 20분 이상이 소요된다. 김포공항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7화] 가장 높은 역(驛)
편집국 2024.12.24
[메가경제=편집국] 한국에서 가장 높은 역은 1973년 11월 10일 제천~백산 간 태백선 개통과 함께 영업이 시작된 해발 855m의 추전역(杻田驛)이나,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역은 1934년 개통된 북한 백무선의 북계수역(北溪水驛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6화] 융프라우요흐(Jungfraujoch)역
편집국 2024.11.28
[메가경제=편집국] ] ‘융프라우요흐’는 ‘처녀 어깨’라는 뜻을 가진 이름의 역으로 스위스 알프스의 해발 3454m인 융프라우 봉오리에 1912년 개설되었다. 지난 2007년 중국 칭짱 철도가 개통되기 전까지 거의 100여 년간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5화] 국내외에서 가장 오래된 역(驛)
편집국 2024.10.31
[메가경제=편집국] 우리는 가장 오래된 역을 1914년 전라선 대장(大場)역으로 개통되었던 춘포(春浦)역이라 하여, 최초의 역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최초 역은 1899년 개통된 인천역이고, 춘포역은 선로도 이전되고, 폐지된 역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4화] 세계 최대 규모 미국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편집국 2024.09.26
[메가경제=편집국] 지난 2001년 5월 필자는 사직원이 수리되면서 곧바로 아내와 미국 여행길에 올라 콜로라도를 출발하여 사막지대를 달리던 버스가 간이 휴게소에 정차했을 때 멀리 달리고 있는 화물열차의 100량이 넘는 차량 숫자를 세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3화]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개통 50주년
편집국 2024.08.13
[메가경제=편집국 ] 1971년 4월 7일 인천에서 개최된 경인선 전철 착공식에 이어 4월 12일 서울에서 개최된 서울지하철 착공식으로 시작된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은 1974년 8월 15일 역사적인 전철·지하철 시대의 문을 열었다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2화] 세계철도 이용 인원이 가장 많은 신주쿠역
편집국 2024.07.31
[메가경제=편집국] 신주쿠역(新宿驛)은 2011년 하루 평균 승하차 승객 수는 약 326만 명으로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바쁜 역’이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2023년 이용객이 가장 많은 서울지하철 2호선 43개 역 전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1화] 파리발 오리엔트 특급열차가 도착했던 도쿄역
편집국 2024.07.04
[메가경제=편집국] 도쿄역은 1889년 신바시역과 우에노역을 잇는 고가철도 건설이 입안된 후 1896년 중앙역으로 건설할 것을 결정한 후, 러일전쟁이 끝난 1908년에 착공하여 1914년 12월 20일 준공되어 1872년 10월 14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0화] 한국과 가장 근접 일본항구 시모노세키역
편집국 2024.06.10
[메가경제= 편집국] 1672년 무역항이 된 시모노세키항은 한국과 가장 가까운(240㎞) 일본항구로 1868년부터 대조선 무역의 중심지로 시작되었으며, 1876년 강화도조약에 의해 수신사 김기수가 일행 76명과 함께 일본에 처음 도착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9화] 수도의 관문 '베이징역'
편집국 2024.05.08
[메가경제=편집국] 청나라 말기 의화단의 외세배척 운동에 1900년 8월 베이징을 점령한 연합군 중 영국군은 파괴된 철도를 시 외곽까지 연장하고, 1900년12월9일 대합실도 없이 돌기둥으로 둘러싸인 역을 설치해 ‘PEKIN’이라는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8화] 중국 1급역 '선전역'
편집국 2024.04.17
[메가경제=편집국] 지난해 10월 기준 중국 10대 도시에 베이징 다음 상하이에 이어 과학기술과 혁신 중심도시로 3위에 오른 선전시의 중국철도 1급역(一等站)인 선전역(深圳站)을 옛날 ‘심천역’이라 하며 방문했던 추억과 함께 살펴본다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7화] 타이베이(臺北)역
편집국 2024.03.27
[메가경제=편집국] 타이완(臺灣)의 역사는 1624년 네덜란드 상인들이 진출하면서 시작된 후 1626년 스페인이 북부를 지배했다. 그러나 1642년 네덜란드가 스페인을 몰아낸 후 1662년 청나라에 패한 명나라 후손 정성공이 네덜란드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6화] 3.1절에 반추하는 하얼빈역과 안중근 의사
편집국 기자 2024.02.26
[메가경제=편집국] 최초 하얼빈역(哈尔滨站)은 1898년 10월 개업한 하얼빈 최고(最古)의 역이었다. 최초 하얼빈역은 1898년 10월 개업했으나 1903년 7월 샹팡역(香坊站)으로 변경돼, 하얼빈시내 중심지에 1899년 개업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5화] 블라디보스토크역
편집국 2024.02.08
[메가경제=편집국] 블라디보스토크역은 1891년 3월 9일 착공해 1904년 6월 21일 개통된 세계 최장 9,288.2㎞의 시베리아횡단철도 시·종착역으로 1893년 우수리스크역~블라디보스토크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탄생한 역이다. 지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4화] 한국열차 최초 도착한 단둥역
편집국 2024.01.19
[메가경제=편집국] 한국철도의 열차가 개통 후 12년 만인 1911년 11월 압록강을 건너 최초 도착한 해외 역은 당시 청나라 안동(安東)역, 지금의 단둥(丹东)역으로 중국 선단(瀋丹)철도, 선단여객전용선, 단둥~대련 간 철도의 종착 ...

thumbimg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3화] 최초의 국경역 신의주역
편집국 2023.12.28
[메가경제=편집국] 경성~의주 간 철도는 러시아·영국·미국·독일·프랑스·일본 등에서 철도 부설을 희망하던 시절, 프랑스 휘브릴사가 1896년 허가받고 3년 내 착공하지 못해 반환된 특허를 이어받은 대한철도회사의 자금 부족으로, 정부가 ...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