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홀딩스·대상㈜ 부회장에 임세령 전무...동생 임상민 전무와 그룹 경영 전면 나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3-26 14:10:03
  • -
  • +
  • 인쇄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임세령 대상그룹 전무가 대상홀딩스·대상㈜ 부회장으로 승진하고, 대상홀딩스 등기이사에 올라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선다.

대상그룹은 26일 임세령 전무가 대상홀딩스 전략담당중역을 맡으면서 부회장으로 승진하고, 대상㈜에서도 부회장으로 승진했다고 밝혔다.
 

▲ 임세령 대상그룹 부회장


임세령(44) 신임 부회장은 대상홀딩스 전략담당중역과 대상㈜ 마케팅담당중역 보직을 동시에 수행하게 됐다.

임 부회장은 1977년생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대에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지난 2012년 12월 대상㈜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직책을 맡아 식품 부문 브랜드 매니지먼트, 기획, 마케팅, 디자인 등을 총괄했으며, 2016년 전무로 승진한 후 대상㈜에서 마케팅담당중역을 맡고 있다.

임 부회장은 2014년 청정원 브랜드의 대규모 리뉴얼을 주도해 식품전문가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했으며, 2016년에는 기존 가정간편식(HMR) 시장의 틈새를 파고들어 ‘안주야’ 제품 출시를 주도해 국내 안주 HMR 시장을 개척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7년에는 국내 식품 대기업 최초로 온라인 전문 브랜드인 ‘집으로ON’을 출시하며 온라인 사업의 안정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지난해에는 국민조미료 ‘미원’의 이미지 개선에 나서 MZ세대를 겨냥한 참신한 마케팅 활동을 펼쳐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대상홀딩스 관계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그동안 의사결정 체계와 조직구조 개편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며 “이 과정에서 시장 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 습득과 실행, 그룹차원의 중장기 방향에 대한 일관된 추진을 위해 임 부회장을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향후 임 부회장은 대상홀딩스의 전략담당중역 및 사내이사로서 그룹 전 계열사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인적자원 양성 등 전략 추진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상홀딩스는 26일 정기 주주총회를 열어 임 부회장을 대상홀딩스 사내이사로 선임했다.

이로써 임세령 부회장이 승진과 동시에 대상홀딩스 등기이사에 선임되며 지난해 대상㈜에 이름을 올린 동생인 임상민(41) 대상 전무와 함께 본격적인 그룹 경영 가도에 들어섰다.

임세령 부회장과 임상민 전무는 대상홀딩스 지분을 각각 20.41%, 36.71%씩 보유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