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1억주 소각' 시대 열었다...증권사 밸류업 전쟁 점화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3 14:46:25
  • -
  • +
  • 인쇄
미래에셋, 2030년까지 자사주 1억주 소각 목표 공약
NH는 515억원규모, 키움은 발행주식 총수의 4.1% 소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맞춰 주주 환원 확대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각 증권사들은 자사주 소각 규모를 갈수록 크게 제시하면서 다른 업계에도 밸류업의 본보기를 보여줄 수 있다는 평이 나온다.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자기주식의 일부를 완전히 없애는 것으로 발행 주식수가 줄어 1주당 가치와 배당금이 높아지고 주당순이익 등의 지표가 좋아진다. 자사주 매입보다 더 주주 친화적인 정책으로 주가에는 대체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23일 증권가와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주주환원성향 35%, 자사주 1억주 감축을 목표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미래에셋증권은 단기적으로 올해부터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이상을 달성하고, 주주환원성향 35% 이상을 이행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사업에서 세전이익 5000억원 이상을 창출하고,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 주 이상을 소각할 예정이다. 이 같은 소각 규모 방침은 타 업계를 찾아봐도 전례 없다는 평이 나올 정도다. 미래에셋증권은 증권업 최초로 매년 최소 보통주 1500만주, 우선주 100만주 이상 소각해 주주환원 정책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 오는 2030년까지 1억주를 소각할 경우, 최대 주주 지분을 제외한 실질 유통주식수는 4억1000만주에서 3억1000만주로 약 24% 감소한다.

 

NH투자증권은 지난 3월 자사주 417만주(515억원 규모)를 매입한 뒤 4월 소각 완료한 상황이다. 특히 지난 2011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으로 자사주를 매입·소각해 시장의 눈길을 끌었다. 시장은 지난해 50%였던 NH투자증권의 배당성향 등을 감안하면 올해 총주주환원율이 60%를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순이익의 절반 이상을 배당과 자사주 소각에 쓰겠다는 셈이다.

 

키움증권은 이달 16일부터 11월 15일까지 장내에서 35만주(약 446억원어치)를 취득할 계획이다. 이를 포함한 기보유 자사주 70만주와 함께 내년 3월 중으로 소각할 방침이다. 다만 실제 취득 금액은 향후 주가 변동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소각 예정 주식 수 105만 주는 발행주식 총수의 4.1%에 해당한다. 키움증권은 상장사 최초로 밸류업 공시를 한 기업이다. 현재 키움증권은 별도순이익 기준 30% 이상을 주주환원에 쓴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추진 중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증권가는 양호한 실적에 밸류업과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맞물리면서 주가를 끌어 올리고 있다”며 “밸류업은 이를 가장 잘 알 수밖에 없는 증권주에 유리한 이벤트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