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원금 손실 가능 ETF에 '제2의 월급' 꼼수 마케팅 논란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3 15:45:23
  • -
  • +
  • 인쇄
금투협 금지 단어 '월급'을 '제2의 월급'으로 고쳐 써
월 배당 받더라도 원금 손실 가능 투자자 현혹 주의보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이 상장지수펀드(ETF) 상품 광고 문구에 ‘제2의 월급’이라는 표현을 써서 투자자들을 상대로 꼼수 마케팅을 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ETF는 원금 손실이 가능한 상품이라 ‘월급’이라는 문구가 불가능하나 삼성자산운용은 ‘제2의 월급 만들기’등의 표현을 고수하고 있어 적절성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3일금융투자업계와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배당+10%프리미엄다우존스 ETF’를 자사의 홈페이지에 “제2의 월급을 만드는 3가지 공식”이라는 내용을 게재했다. 최근 금융투자협회(금투협)가 이를 지적한 것으로 파악됐다.

ETF는 원금을 잃을 수도 있는 상품인데 삼성자산운용이 ‘월급’이라는 표현을 써서 투자자가 고정적인 수익을 받을 수 있는 것처럼 오인하게 했다는 이유에서다.

 

▲[사진=삼성자산운용 홈페이지]

 

또 ‘KODEX 미국AI테크TOP10+15%프리미엄 ETF’도 ‘제2의 월급을 만드는 3가지 공식’이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 묶여 있는 것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상장한 이 상품들은 매월 분배금을 주는 월 배당형이기 때문에 이런 문구를 썼다고 보여진다. 두 상품 모두 투자 위험 등급이 1등급(매우 위험)이다.

그러나 매월 배당을 받더라도 원금 손실이 가능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이런 표현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자산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투자지식이 완전치 못한 상태에서 이런 문구를 보면 쉽게 현혹될 수 있다”며 “ETF 등의 상품에 접근하는 투자자들은 유의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금투협은 ETF 광고 문구 관련 '월급'이라는 표현을 금지하고 있다. 금투협 '표시금지행위'에 따르면 '월급받기' '월급처럼' 등 '월급'이 포함되는 모든 용어, '꼬박꼬박' '착착' '쏙쏙' 등 차질 없이 월지급이 가능한 것으로 오인의 우려가 있는 표현은 모두 금지 사항이다.

그러나 삼성자산운용 측은 ‘제2의 월급’에 ‘만들기’라는 표현을 붙이면서 확정적 상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월급’이라는 문구가 포함돼 투자자들에게 고정적인 수입이라고 오인 되기 쉽다고 여겨질 소지가 있어 삼성자산운용 측과 사용 여부에 대해 협의 중이다”며 “향후 이런 논란이 없도록 조금 더 보수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투협 관계자는 해당 문구 수정 가능성이 크냐는 질의에 “그렇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삼성자산운용 관계자는 “금융투자협회에서 광고 문구에 대한 내부 검토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금투협으로부터) 문구에 대한 수정지시는 받지 않았고 조금 더 표현에 주의하자는 입장이다”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경찰, 국정자원 화재 전담팀 가동...원인 수사 본격화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찰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의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하며 본격 수사에 나섰다. 28일 대전경찰청에 따름녀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소방당국, 국립과학구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에 나섰다. 전담 수사팀은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20명 규모로 알려졌다. 해당 팀은 화재가 발생한 '무정전·전원

2

100만 인파 몰린 불꽃축제 '성료'…'대박' 터진 편의점·호텔
[메가경제=정호 기자]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되면서 편의점과 호텔이 높은 매출을 거뒀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 불꽃축제에는 한강공원이 인접한 여의나루역을 무정차 통과할 정도로 인파가 몰렸다. GS25 편의점 10개 매장은 지난 20일 토요일 대비 하루 매출이 850% 급증했다. 특히 오후

3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