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주한독일상공회의소 '저성장 시대 HR의 역할' 연사로 참여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3 15:57:41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AI·데이터 기반 HR테크 플랫폼 잡코리아가 주한독일상공회의소(KGCCI)가 주최한 ‘2025 HR 서클(Circle)’ 행사에서 독일계 외국기업 대표와 HR 리더를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18일 주한독일문화원에서 열린 ‘HR 서클’은 인사·채용·조직문화 등 상공회의소 회원사의 인적자원(HR) 업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킹 행사다.

 

▲ <사진=잡코리아>

 

이날 행사에선 LG전자, 현대차그룹 포티투닷(42dot) 등을 거쳐 현재 잡코리아 최고인사책임자(CHRO)로 재직 중인 김준수 잡코리아 가치성장본부장이 ‘저성장 시대 HR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했다.

 

행사에는 독일계 글로벌 기업을 비롯한 상공회의소 회원사 50여 명의 대표이사 및 HR 현직자가 참석했으며, 강연 이후에는 Q&A와 네트워킹 세션이 이어졌다.

 

김준수 본부장은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 HR의 전략적 방향성과 실무적 해법을 찾는 방안에 대한 자신만의 인사이트를 전했다. 특히 대기업부터 중견기업, 스타트업을 거쳐 채용 플랫폼까지 유수 조직을 거친 인사 전문가로서 채용·평가·보상·GHR·조직 설계·임원 인사 등 인적자원관리(HRM) 전 영역에 걸쳐 쌓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김 본부장은 “비즈니스 성과에 직결되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전략적 파트너로서 ‘HRBP(Human Resources Business Partner)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며 “HRBP는 단순히 제도나 정책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리더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조직과 구성원 사이의 균형을 지키고 필요할 때는 의견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구성원과 조직을 긴밀히 연결하는 목적 조직 HRBP 운영의 중요성을 전했다.

 

아울러 그는 “저성장 시대에는 PE(Private Equity)형 HR 인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며 “정해진 기간 안에 사업의 성장과 실행을 설계하고, 결과를 집요하게 만들어 기업 가치 제고(value-up)를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사업 성장과 조직문화를 함께 설계하고 실행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거듭나고 있으며, 업무 내 AI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AI를 위기가 아닌 파트너십 차원에서 바라보고 인사 담당자가 보다 중요한 가치 판단에 집중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