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주 수익 보전 vs 소비자 부담 가중" 프랜차이즈 이중가격제 '난맥상'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3-14 08:28:27
  • -
  • +
  • 인쇄
늘어나는 이중가격제에 소비자 부담만 '가중'
본사, "점주 부담 가중으로 발생하는 현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중가격제를 둘러싼 프랜차이즈·배달플랫폼·소비자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 맘스터치 발 이중가격제 도입으로 3만원 치킨 시대 논란을 촉발한 치킨 프랜차이즈의 이중가격제와 배달수수료 문제 또한 재점화되는 모습이다. 나날이 오르는 물가 속에서 자영업자들의 수익 보전과 소비자들의 외식 비용 증가라는 입장 차이가 현재로서 타협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맘스터치가 이중가격제 도입 자제를 안내하는 권고에도 가맹점 1450곳 가운데 48곳이 이중가격제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총 3.3%에 달한다.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는 지점이 늘어나면 결국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지적이 불거지는 이유다. 

 

 

이중가격제는 매장보다 배달 메뉴의 가격을 높게 책정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는 가맹점은 맘스터치뿐만 아니다. 메가커피, 롯데리아, 버거킹, 맥도날드 등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다. 

 

맘스터치 관계자는 "원재료뿐만 아니라 배달료 문제를 고심하는 점포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본사 차원에서는 이중가격제 도입 자제를 권고하지만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지점들이 결국 도입을 결정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치킨 프랜차이즈 발, 이중가격제 '논란' 누구 탓?

 

지난해 한국프랜차이즈협회가 소비자 배달 치킨 프랜차이즈를 대상으로 가격 부담을 높이는 이중가격제 도입을 추진한 바 있다. 당시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치킨값 3만원 시대' 우려가 싹트기도 했다. 

 

교촌치킨 2023년 4월, BHC 2023년 12월, BBQ 지난해 6월 순으로 이뤄진 가격 인상이 이뤄진 데다가 이중가격제 도입 가능성으로 논란을 피해갈 수 없을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배경에는 배달플랫폼 상생협의체를 통해 결정된 '차등 수수료제'가 깔린다.

 

이 제도는 서울 기준 점포들을 대상으로 ▲매출 상위 35% 배달비 7.8%·배달비 3400원 ▲상위 35~50%·수수료 6.8% 배달비 3100원 ▲상위 50~80%·수수료 6.8% 배달비 2900원 ▲하위 20% 수수료 2% 배달비2900원 순으로 배달 수수료와 비용을 책정한다. 

 

다만 실제 배달 수수료 기준으로 봤을 때 상위 35% 매장에서는 배달팁이 2900원에서 3400원으로 18%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매출 중위권(35~80%) 업체들 또한 매출과 배달 비용을 따졌을 때 혜택이 적다는 지적 또한 나온다. 매출액 상위 점포의 경우 2만5000원의 배달 비용이 발생해야 이윤을 높일 수 있는 상황이다. 적절한 상생안으로 보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가격 인상과 배달료 인상 등 이해관계가 얽히며 결국 이 부담은 소비자들의 외식 비용 증가라는 결과까지 이어졌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전반적인 상황을 봤을 때 배달료 부담을 안은 자영업자들이 결국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는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 양보 없는 갈등은 현재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 이중가격제 문제에는 배달플랫폼 상생협의체를 통해 결정된 '차등 수수료제'가 배경으로 깔린다.[사진=연합뉴스]


◆치솟는 외식물가 차라리 배달 안 하는 게 나을 판, 소비자 '한숨' 

 

통계청이 지난 6일 발표한 '2025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따졌을 때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08로 전년 대비 2% 상승했다. 특히 외식 물가는 3%,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2.9%까지 올랐다. 인상 요인에는 '이중가격제'의 영향 또한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맘스터치 가맹점의 이중가격제 도입에 대해 불만에 목소리가 불거졌다. "애초에 가짜 무료 배달을 하니 이중 가격 물가가 혼란이 생긴다", "본사 입장에서는 개선할 방법이 없는 것인가?", "최근에 가격 인상하고 배달까지 이중가격제 도입하니 배달로 주문하기에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왔다. 

 

배달료와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는 프랜차이즈의 증가는 결국 소비자의 외면이라는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이유로 맘스터치 또한 이중가격제 도입 자제를 권고하지만, 강제할 방침 또한 없는 상황이다.

 

다른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중가격제 도입에 대해 이를 강제할 제도적인 장치가 없으며 오히려 본사의 탄압으로 비칠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로써는 점포를 운영하는 점주의 양심에 맡기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빙그레, 23년 만에 회사채 발행 추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빙그레가 23년 만에 공모 회사채 발행을 검토한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이달 수요예측을 거쳐 오는 26일 500억원 규모의 3년 만기 회사채 발행을 계획 중이다. 최대 1000억원까지 추가 발행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빙그레는 지난달 20일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동면 송연리에 위치한 빙

2

강원랜드, 2025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참여기업 공모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 직무대행 최철규)는 청년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폐광지역 이전과 기업성장을 지원하는 ‘2025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선발 공모가 8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고 밝혔다.‘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는 폐광지역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강원랜드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광해광업공단, 지방시대위원회

3

KT알파 쇼핑,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 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알파 쇼핑이 8일부터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KT알파 쇼핑은 9월 30일까지 10% 할인쿠폰 매일 증정, 골드코인 경품 추첨 등을 실시한다. ‘황금 추석 골든 혜택’ 프로모션을 통해 추석 대상상품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10% 할인쿠폰을 지급한다. 프로모션 기간 내 매일 쿠폰이 발행돼 1일 1회 사용 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