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서울시사랑상품권 설명절맞아 오늘부터 본격 발행...10% 특별할인판매

유지훈 / 기사승인 : 2020-01-17 11:27:28
  • -
  • +
  • 인쇄
17개 자치구서 발행, 순차적으로 나머지 자치구도 발행 예정
발매기념 및 설명절 맞아 300억원 소진시까지 10% 특별할인

[메가경제 유지훈 기자] 서울시가 지역 내 소비증대와 소상공인 매출증대를 위해 발행한 ‘서울사랑상품권’을 설명절을 맞아 10% 특별 할인 판매한다고 16일 밝혔다.


300억 원이 소진되면 기존 할인율인 7%만 적용된다.


서울사랑상품권은 지난 10일 마포구 시범발행을 시작으로 15일에는 성동, 강동, 영등포, 관악구 등 4개구에서, 17일에는 종로구, 중구, 중랑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양천구, 은평구, 강북구, 금천구, 도봉구, 동작구, 성북구 등 12개구에서 발행을 시작했다.



[사진= 서울시 제공]
서울사랑상품권 포스터. [사진= 서울시 제공]


서울사랑상품권은 각 자치구별로 발행하는 상품권을 통칭하는 명칭이며 실제발행은 자치구별로 하게 된다. 예컨대 마포구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은 ‘마포사랑상품권’이 되는 것이다.


총 참여 자치구는 21개며 나머지 자치구도 순차적으로 발행할 예정이라고 서울시는 전했다.


서울사랑상품권은 소비자에게 상시 7% 할인된 금액으로 상품권을 판매하며, 소비자는 소득공제 30%를 적용받을 수 있다.


가맹점은 연매출액과 상관없이 상품권 결제 건에 대해서는 결제 수수료가 없으며, 부가가치세 납부세액 공제대상에 상품권 결제액이 포함돼 세부담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사진= 서울시 제공]
가맹점 안내 포스터. [사진= 서울시 제공]


현재 상품권은 자치구 내 약 17만 개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가능하며, 서울시는 연말까지 가맹점수를 대폭 확대해 누구나 주변에서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소비자들이 지역 내 상점에서 더욱 쉽게 이용하도록 해 소상공인을 돕는다는 착한소비 풍토를 자리잡도록 한다는 생각이다.


상품권 구매는 현재 9개 앱(비플제로페이, 머니트리, 체크페이, 농협올원뱅크 외 지방은행 5개소)에서 가능하며 구매할 수 있는 앱은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블로그와 제로페이모바일상품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품권 사용은 모바일앱으로 상품권을 구매한 후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바로 사용가능하며, 구매한 앱 내에서 생성된 QR코드를 점원에게 제시하거나, 가맹점에 비치된 QR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지훈
유지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보람그룹, 내달 8일 ‘전국파크골프대회’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보람그룹은 대한파크골프연맹과 함께 ‘제1회 보람그룹배 전국파크골프대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니어 세대의 일상 속 건강한 여가생활을 돕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회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번 대회는 국민건강 증진과 파크골프 저변 확대, 건전한 여가문화 조성을 목표로 마련됐다. 오는 12월 8일 오전 9시 대구광역

2

무신사, 이른 추위에 겨울 슬리퍼 인기 급상승···퍼·패딩 슬리퍼 거래액 3.5배 ‘쑥’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무신사가 11월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의 카테고리 거래액을 분석한 결과, 방한화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가운데 패딩·퍼 슬리퍼 거래액은 3.5배로 늘었다. 또한, 11월 첫째 주 무신사 주간 인기 상품 랭킹에도 퍼·플리스 안감이나 패딩 소재를 적용해 보온성을 높인 겨울용 신발이 다수 상위권

3

SPC삼립, 황종현 대표 사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SPC삼립은 황종현 대표이사가 사임한다고 10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기존 황종현, 김범수 각자 대표이사에서 김범수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된다. SPC그룹은 지난 4일 고위직 인사를 통해 파리크라상 대표이사를 맡았던 경재형 부사장을 SPC삼립 대표이사로 내정했다. 경 수석부사장은 김범수 대표이사와 각자대표 체제로 SPC삼립을 운영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