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종부세 완화론 "잘못된 시그널 가지 않는 범위 내 짚어보고 있다"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4-20 01:08:29
  • -
  • +
  • 인쇄
홍남기, 정세균 퇴임 후 총리대행으로 첫 국회 대정부 답변
“공시가격 동결 능사 아니다...사회적 정의에 맞느냐”
무주택자 집값 최대 90% 대출 “쉽게 동의할 수 없어”
LH 혁신방향은 “현재 세 갈래로 검토 진행중”
손실보상법 소급적용에 “동의하기가 어렵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9일 정세균 전 총리 퇴임 이후 처음으로 국무총리 직무대행으로서 국회 대정부질문에 나서 4·7재보선을 계기로 대두된 ‘종합부동산세 완화론’과 ‘공시지가 동결론’, ‘LH 혁신론’과 ‘손실보상법 소급적용론’과 관련된 의원들의 질의에 답했다.

홍 총리대행은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의 종합부동산세 완화론 관련 질의에 "주택가격이 오르다 보니 종부세 대상자가 늘어난 것이 사실"이라며 "잘못된 시그널이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같이 짚어보고 있다"고 말했다.

홍 총리대행은 먼저 "종부세가 공시지가 9억 이하는 제외되기 때문에 시가 13억∼14억 미만의 주택에 대해서는 종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사실 종부세를 내는 계층은 전 인구로 볼 때는 몇 퍼센트 안된다. 대부분의 국민은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상자들은) 아무래도 피부에 와 닿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혹시 민의를 수렴할 영역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답변했다.
 

▲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홍 총리대행은 "작년엔 부동산 가격이 자연 증가한 게 아니고 갑작스럽게 푹등했다. 거기에 대한 정부의 대책도 필요해 보인다"며 "일정한 가격 이하에 대해서는 재산세율을 인하해주고 했는데 그 기준이 합리적이냐 하는 거에 대한 논란은 있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공시지가 현실화 단계는 1~2년만에 현실화하는 게 아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공시지가가 현재 공동주택은 65~70%를 좀 넘고 개별주택은 55%밖에 안된다”며 “과연 이대로 두는 것이 사회적으로 공정한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어서 정부도 현실화율을 높여나가겠다는 계획은 갖고 있다. 다만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하겠다는 거다”라고 강조했다.

홍 총리대행은 "작년에 부동산 가격이 많이 뛰다보니 현실화율과 상승분하고 겹쳐셔 세 부담을 갖게 된 것 같다"며 "정부로서는 세수증가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한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최대한 고려하겠다"고 했다.

홍 총리대행은 ‘부동산 공시가격 동결’과 관련해선 "능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정의당 심상정 의원의 관련 질의에 "정말 공시가격을 동결하는 게 사회적 정의에 맞느냐. 다시 한번 정중하게 여쭤보고 싶다"며 이같이 밝혔다.

홍 총리대행은 또 "정부가 조사한 것을 그대로 발표한 것이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정부가 (공시가격을) 동결하라거나 수치를 조정해서 낮추라는 것은 앞으로도 그렇게 하라는 얘기로 들려서 동의하기가 어렵다"고 답했다.

홍 총리대행은 ‘종부세 완화론’과 관련된 심 의원의 질의에는 ”대다수 국민들은 종부세와 관계없다. 3~4%의 국민만 종부세를 낸다. 심지어 저도 종부세를 내본 적 없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종부세와 관계 없다"고 강조하며 "전 국민에게 떨어지는 세금 폭탄으로 오해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홍 총리대행은 민주당 일각에서 무주택자에게 집값의 최대 90%까지 대출해주자는 의견이 나오는 것과 관련한 심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도 "쉽게 동의할 수 없는 내용"이라고 답했다.

그는 "그런 정책이 바람직한지, 시스템적으로 가능한지, 금융기관의 뒷받침이 가능한지 검토한 바 없기 때문에 짚어봐야 한다"며 "일견 보기에는 현실적으로 실현되기가 쉽지 않은 제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19일 서울 강북구 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분향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홍 총리대행은 집값 잡기 대책과 관련해선 "무주택자가 주택을 갖게 하고 1주택자가 작은 평수를 조금 더 나은 주택으로 가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주택정책이 지향하는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의미에서 신규공급에도 역점을 두지만 다주택자들이 투기와 불로소득으로 얻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제한을 가해서라도 새로운 물량이 나올 수 있도록 할 여지가 크다고 본다"며 "그같은 큰 틀의 기조는 그대로 견지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홍 총리대행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혁신방향과 관련해서는 "현재 세 갈래로 검토가 진행중"이라고 발혔다.

첫 번째는 인력규모 1만명 정도에 이르는 LH의 조직과 기능을 어떻게 합리화할 것인지이고, 두 번째는 이번 사태와 같은 투기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통제장치를 갖추는 것이고, 세 번째는 LH라는 공공기관 자체의 경영혁신 강화방안이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LH의 기능과 조직을 어떻게 재편하느냐는 것인데, 관계부처 내에 어느 정도 검토가 마무리돼 가고 있다"며 "마무리되면 다음 달 초중반에는 발표할 수 있을 것이다. 열심히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홍 총리대행은 또 손실보상법 소급적용을 요구하는 여당 의원에게는 "동의하기가 어렵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우리나라 재정 역할이 소극적이었다는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의 지적에 대해, "왜 재정이 아무것도 안 했다고 판단하십니까.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국가가 동원할 수 있는 여력을 최대한 동원해 네 차례 걸쳐 추경을 했고 소상공인 현금지원을 15조원 정도 했다"며 "왜 아무것도 조치 안 한 것으로 말씀하시는지 동의하기 어렵다"고 재차 강조했다.

홍 총리대행은 "소급해 받은 분과 못 받은 분의 균형 문제도 있다“며 ”자칫 설계가 잘못되면 심각한 사회적 갈등도 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소급적용에 거듭 반대입장을 밝혔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BYD 돌핀 서프, 유로 NCAP 최고등급 '별 다섯 개' 획득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BYD의 컴팩트 전기차 돌핀 서프(DOLPHIN SURF)가 유럽의 독립 자동차 안전 평가기관 유로 NCAP(Euro NCAP) 최신 테스트에서 최고 등급인 별 다섯 개를 획득했다. 올해 ‘월드 어반 카 오브 더 이어(World Urban Car of the Year)’로 선정된 돌핀 서프는 성인·아동 탑승자 보호, 보행자·이륜차

2

정관장, 혈당·피로 관리 신제품 ‘GLPro 혈당밸런스’ 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정관장이 식후 혈당 조절과 피로 케어를 동시에 겨냥한 기능성 신제품 ‘GLPro 혈당밸런스’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정받은 홍삼 독점소재(KGC05pg)와 비타민 B군 6종, 비타민 C·D, 크롬, 아연 등 필수 영양성분을 결합해 설계됐다. 회사 측은 현대인의 주요 건강 고민인 혈당 관리와 피

3

과기정통부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 금액 1억7000만원"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 고객을 대상으로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로 인해 현재까지 278건, 약 1억7000만원의 금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KT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관련 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지난 4월 통신사 침해사고에 이어 국가배후 조직의 해킹 정황, 휴대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