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심리지수 86.5 "10월보다 2.3%p 하락"…기대인플레이션율 4.2% "10월보다 0.1%p 떨어져"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11-23 07:54:24
  • -
  • +
  • 인쇄
소비자심리지수 구성 6개 지수 중 5개 지수 떨어져
주택가격 전망지수 3p 내린 61…5개월 연속 역대 최저
금리수준전망지수 1p 오른 151…3개월 연속 상승
취업기회전망지수 4p 내린 66 …2개월 연속 하락

높은 물가 상승률 지속과 수출 부진 등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속에 소비자심리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지난달 석달 만에 상승전환했던 소비자들의 물가 전망에 해당하는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달에 비해 소폭 떨어졌고, 아파트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주택가격전망지수는 5개월째 역대 최저 기록을 경신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6.5로, 10월(88.8)보다 2.3포인트(p) 하락했다.

 

▲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한국은행 제공]

 

소비자심리지수는 7월 86.0에서 8월(88.8)과 9월(91.4) 연속으로 올랐다가 10월(88.8)과 11월(86.5) 2개월 연속 떨어졌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활용된다.
 

▲ 구성지수의 기여도. [한국은행 제공]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크면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기대심리가 과거 장기평균치(2003년~2021년)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밑돌면 비관적임을 나타낸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83)만 10월과 같았고, 생활형편전망(82·-2p), 가계수입전망(93·-1p), 소비지출전망(107·-3p), 현재경기판단(46·-1p), 향후경기전망(54·-2p)은 모두 10월보다 지수가 내려갔다.


이번 조사는 지난 8∼15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2397가구가 조사에 응답했다.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0월(4.3%)보다 0.1%포인트 낮은 4.2%로 집계됐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7월 4.7%로 역대 최고치를 찍은 이후 8월(4.3%), 9월(4.2%), 10월(4.3%), 11월(4.2%) 등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고 있다.

▲ 물가인식 및 기대인플레션율. [한국은행 제공]

기대인플레이션율 응답 분포는 10월엔 ‘6% 이상’이 18.1%로 가장 높고 이어 ‘3~4%’가 18.0%, ‘5~6%’와 ‘4~5%’가 각각 17.9%였으나 11월엔 ‘3~4%’ 전망이 18.9%로 가장 많고 이어 ‘4~5%’ 18.6%, ‘5~6%’ 17.1%, ‘6% 이상’ 16.2% 순으로 전망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 공공요금이 59.0%로 가장 많고, 이어 석유류제품(39.1%), 농축수산물(37.2%) 순이었다.

▲ 물가상승 기대형성 요인에 대한 응답 비중. [한국은행 제공]


10월에 비해서는 공업제품(+3.6%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농축수산물(-5.4%p), 공공요금(-2.9%p) 비중은 감소했다.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물가인식도 5.1%로, 10월(5.2%)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 소비자동향조사 [한국은행 제공]

11월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51로 10월에 비해 1포인트 올라 3개월 연속 상승했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해 6개월 후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100을 웃돈다. 이 지수가 10월보다 오른 것은 1개월 사이 금리 상승을 전망한 사람들의 비중이 커졌다는 의미다.

11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61을 기록, 10월보다 3포인트 내려가면서 지난 7월(82)부터 5개월 연속 역대 최저 기록을 다시 썼다. 지난 4월(114)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이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나타내는 것으로, 집값 하락을 점치는 소비자의 비중이 더 늘었다는 뜻이다.

11월 취업기회전망지수도 66으로, 10월보다 4포인트가 내려가면서 2개월 연속 내려갔다.

이 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취업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3Q 매출 1601억 기록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올 3분기에 매출 1601억원, 영업손실 194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RPG,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을 토대로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증가한 5129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 9월 말 신작 출시를 앞두고 진행된 사전 마케팅 비용 등의 영향으로 3분기 영업이익은 감

2

에이에스이티-포엠일렉트로옵틱, 이차전지용 부품 베트남 수출 '업무협약'
[메가경제=정호 기자] 차세대 이차전지용 전고체전해질막 전문기업 에이에스이티가 본격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다. 에이에스이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포엠일렉트로옵틱 비나(4M Electro Optics Vina)와 전고체전해질막 제품의 현지 진출 및 전동화 산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은 양사 주요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

3

NH농협은행, '올원×페이스페이' 경품 이벤트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오는 30일까지 NH올원뱅크에서 '올원뱅크+토스 페이스페이=?'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올원×페이스페이'는 얼굴과 결제수단을 미리 등록하면, 실물카드나 휴대폰 없이도 얼굴 인식만으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간편 결제 서비스다. 이번 이벤트는 신규로 가입하고 결제 수단을 NH농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