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 성향 교회 내 통합 기대, AI 시대 역할 고민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세계적인 혼란과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가톨릭 교회 역사상 최초의 미국인 교황이 탄생하며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33명의 추기경 선거인단은 현지시간 8일, 콘클라베 나흘째이자 네 번째 투표 만에 미국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69)을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했다. 그의 교황 즉위명은 ‘레오 14세’로 결정됐다.
라틴어로 ‘사자’를 의미하는 ‘레오’라는 이름처럼, 그의 강인함과 용기, 그리고 새로운 시대의 리더십에 대한 기대감이 교계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 |
▲ 새교황 레오 14세 [사진= 연합뉴스 ] |
1955년 시카고에서 태어난 레오 14세는 1982년 사제 서품을 받고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에 몸담았다.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출신 교황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미국 출신임에도 20년간 페루에서 선교사로 헌신했으며, 2015년에는 페루 시민권을 취득하고 같은 해 페루 대주교로 임명되었다는 사실이다. 변방에서 가난한 이들과 함께한 그의 삶이 교황 선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레오 14세는 2023년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교황청 주교부 장관으로 임명되며 교황청 내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주교부는 신임 주교 선발을 관리·감독하는 중요한 조직이다. 특히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혁 정책에 발맞춰 주교 후보자 명단 결정 투표단에 여성 3명을 최초로 포함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교회 내 진보적인 변화를 지지하는 그의 성향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동시에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측근이면서도 신학적으로는 중도 성향을 유지하고 있어, 교회 내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의 균형을 이룰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창한 영어는 물론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등 다국어 능통자라는 점도 국제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선출 직후 성 베드로 대성전 발코니에 오른 레오 14세는 첫 공식 발언으로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를 사용하며 다국적 면모를 드러냈다. 특히 페루에서의 오랜 경험을 떠올리며 스페인어로 인사를 건넨 것은 그의 과거 행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영어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전통에 따라 라틴어로 사도적 축복 ‘우르비 에트 오르비’를 내렸다. 또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거절했던 진홍색 모제타를 착용한 그의 모습은 전통으로의 회귀를 암시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교황청 대변인 마테오 브루니는 새 교황명이 19세기 말 노동권과 사회 정의를 강조한 레오 13세 교황의 정신을 계승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브루니 대변인은 레오 14세의 선택이 “인공지능(AI) 시대에 사람들이 어떻게 일하고 살아가는지 교회가 고민하고 있다는 분명한 언급”이라고 강조하며, 새로운 시대의 도전에 대한 교회의 적극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세계적인 혼란과 갈등 속에서 탄생한 미국 출신의 교황 레오 14세. 그의 리더십이 가톨릭 교회를 넘어 전 세계에 어떤 메시지를 던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통과 개혁 사이에서 어떤 균형점을 찾아나갈지, 그리고 인공지능 시대를 비롯한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에 대해 어떤 해답을 제시할지 전 세계가 그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