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순당의 리뉴얼 효과? 생막걸리 6월 편의점 판매량 240%↑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7-19 08:59:33
  • -
  • +
  • 인쇄
빛에 의한 품질 저하 차단에 현대적 감각의 심플한 디자인 호평

국순당의 대표 상품 생막걸리가 리뉴얼 효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국순당은 6월 판매동향을 분석하니 편의점 부문 판매량이 전년동기대비 241.8%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전달대비 판매량도 179.4% 늘었다.
 

▲사진 = 국순당 제공

 

국순당 생막걸리 6월 판매량은 편의점부문 호조로 전년동기대비 56.4% 증가했다. 전달대비도 78.9% 늘었다.

이와 같은 판매량 급상승은 지난 6월 단행한 제품 리뉴얼이 소비자와 유통업계에 호평받았기 때문이라고 국순당은 분석했다.

맛과 품질을 높이고, 환경을 고려한 포장으로 바꾼 것.

빛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차단해 최상의 맛을 유지하도록 패트병 전체를 감싸는 디자인이 적용됐다.

또 현대적 감각의 심플한 디자인으로, 단순화한 투톤 컬러로 모던하고 고급스러움을 더해 기존 막걸리와 차별화를 꾀했다.

ESG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분리배출이 용이하도록 라벨에 절취선도 적용했다.

특히, 편의점 신상에 관심이 높은 MZ세대를 중심으로 눈길을 끌며, 맛과 디자인 등에서 호평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국순당 생막걸리는 5단 복합발효제법을 적용해 기존 두 번의 쌀 발효 과정에 세 번의 유산균 발효 과정을 더해 유산균 발효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기분 좋은 산미와 국순당이 직접 배양한 막걸리 전용 효모가 만들어 내는 과실 향미가 어우러져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맛과 향을 구현했다.

아울러, 주요 편의점 점포에 새롭게 입점하는 등 유통채널이 늘어나 구매편의성이 확대된 것도 판매량 증가에 기여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홈술 트렌드가 지속된 것도 긍정적 작용.

국순당이 기능성 프리미엄 막걸리인 1000억 프리바이오 막걸리와 최근 콜라보 제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국순당 쌀 죠리퐁당을 소용량 캔으로 출시하는 등 MZ세대의 음용 성향을 고려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젊은 층에서도 선호도가 높아진 것도 긍정적 영향을 줬다.

국순당 관계자는 “지난 6월에 진행한 국순당 생막걸리의 제품 개선이 깔끔한 맛과 세련된 디자인으로 소비자분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라며 “7월 들어서도 대형 유통 채널인 코스트코와 롯데마트 등 판매처가 확대돼 소비자분들이 좀 더 간편하게 국순당 생막걸리를 즐길 수 있게 돼 향후 꾸준한 판매량 증가가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