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 PF 부실채권 비율 1년새 2배 껑충...리스크 심화

오민아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5 09:00:47
  • -
  • +
  • 인쇄
김재섭 의원, 부실채권 잔액도 3개월 새 1조 급증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강화에 부실 확대 불가피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채권 리스크가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채권 비율이 36%를 넘겨 1년새 2배 가까이 늘었고  부실채권 잔액도 3개월 만에 1조원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2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3월 말 증권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36.31%였다. 이는 1년 전 작년 3월 말(19.78%)의 2배 수준이다. 전 분기인 작년 말(30.01%) 대비해서도 6%P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을 말한다. 고정이하여신 잔액도 빠르게 늘고 있다.

 

작년 말 1조원에 불과했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 2조3000억원으로 늘었고, 올해 3월에는 3조2천억원으로 3개월 만에 9000억원 불어났다.

 

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전 등 다른 금융업권에서도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늘어나는 추세다.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 6000억원에서 올해 3월 1조1000억원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같은 기간 6.63%에서 12.06%로 각각 2배 가까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캐피탈사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조2000억원에서 1조4000억원으로, 비율은 5.08%에서 6.0%로 늘었고 카드사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900억원에서 1200억원으로, 5.44%에서 6.72%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강화된 만큼 2분기 이후 각 업권의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당분간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사업성 평가 기준을 '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 등  4단계로 세분화한 뒤, 금융사들에 엄격해진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부동산 PF 사업장을 재평가하도록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민아 기자
오민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