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그룹 세화예술문화재단은 서울 광화문의 랜드마크인 '해머링 맨'(Hammering Man)이 이달 스무 번째 생일을 맞았다고 7일 밝혔다.
해머링 맨은 지난 2002년 6월 4일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흥국생명빌딩 옆에 설치돼 딱딱한 도심 속에서 광화문 지역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 |
▲ 서울 광화문 흥국생명빌딩에 위치한 '해머링 맨' 전경 [사진=태광그룹 제공] |
세계 도시의 공공장소나 빌딩 앞에 조형물을 설치하는 미국 조각가 조나단 브로프스키(Jonathan Borofsky)의 연작으로, 1979년 미국 뉴욕에서 3.4m 높이의 해머링 맨이 처음 전시됐다.
이후 시애틀·댈러스·캘리포니아·미니애폴리스·개인스빌·LA 등 미국 주요 도시와 독일 프랑크푸르트, 스위스 바젤, 노르웨이 릴레스톰, 일본 나고야 등 총 11개 도시에 설치됐다.
이 가운데 광화문에 있는 해머링 맨이 키 22m, 무게 50톤(오른팔만 4톤)으로 세계에서 체구가 가장 큰 작품이다.
해머링 맨은 평일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하절기 기준)까지 35초마다 1회씩 망치질을 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가동을 멈춘다.
조나단 브로프스키는 어린 시절 음악가인 아버지가 들려준 친절한 거인 이야기에서 해머링 맨의 영감을 얻었고, 1976년 튀니지의 구두 수선공이 망치질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을 토대로 스케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화예술문화재단은 20살 생일을 맞은 해머링 맨의 문화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세화미술관이 운영하는 SNS 계정에 해머링 맨의 생일 축하 메시지를 남기면 소정의 기념품을 준다.
해머링 맨이 있는 광화문 흥국생명빌딩은 1층과 지하 1층, 빌딩 주변에 국내외 우수한 17점의 미술작품들이 상설로 전시돼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