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얼마나 싸지려나" 꽃게 가격 전쟁 재점화...소비자 '방긋'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0 09:37:37
  • -
  • +
  • 인쇄
지난해 792원까지 내려간 활꽃게, "올해는 얼마나 싸지려나"
롯데마트 선전포고에 홈플러스·이마트, 눈치 살피는 중

[메가경제=정호 기자] 꽃게 어획량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되며 유통업계의 '가격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어종 보호를 위해 지정된 꽃게 금어기가 오는 20일 해제되며  유통업계의 꽃게 경쟁이 곧 시작될 조짐이다. 지난해 꽃게 가격 경쟁에서는 하루마다 10원, 1원 단위로 낮추며 급기야는 700원 후반까지 가격이 내려갔다. 

 

2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금어기 해제 당일 서해안에서 잡은 햇꽃게를 21일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새벽에 어획한 햇꽃게를 5℃ 이하 냉수에 담아 기절시킨 뒤 모래와 유사한 환경으로 신선도를 유지할 예정이다. 물량 또한 부안 격포항과 신진도항의 선단 40여 척과 사전 계약을 통해 공급망을 30% 확대했다. 

 

▲ 꽃게.[사진=연합뉴스]

 

가격은 행사카드 결제 시 100g당 992원 수준으로 전년 22일 893원 대비 9원 높아졌다. 올해도 대형마트·e커머스의 가격 경쟁이 진행되면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21일 기준으로 롯데마트는 893원, 이마트 950원, 홈플러스 990원에 판매를 시작했다. 가격 경쟁은 3일 뒤인 24일 이마트에서 880원까지 낮추며 심화했다. 

 

25일 쿠팡이 890원으로 가격 경쟁에 나서며 29일 롯데마트와 이마트는 각각 871원, 864원 수준으로 낮췄다. 30일 롯데마트는 850원으로 다시 가격을 낮췄으며 이마트가 792원으로 할인하며 결국 700원 대 벽까지 깨졌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가을 서해 꽃게 어획량이 지난해 가을 대비 최대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는 서해 저층의 냉수가 해안가와 남쪽까지 고루 퍼지며 꽃게 어장이 늘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넓은 어장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사전에 물량을 확보하고, 신선도를 지키기 위해 냉장 배송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 환경은 꽃게 대전을 대형마트의 독무대로 만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이례적으로 쿠팡이 890원이라는 가격으로 경쟁에 참여했다.

 

종합하면 어획량 증가와 e커머스의 참여로 치열해진 경쟁이 올해는 더욱 격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홈플러스는 22일부터 경쟁에 참여할 예정이다. 판매 상품은 얼음 저장 햇꽃게와 냉수마찰 기절꽃게다. 냉동 저장한 꽃게는 비교적 저렴한 790원에 판매하지만, 기절시킨 활꽃게는 행사카드 구매시 1090원에 판매한다. 

 

이마트는 아직 가격을 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일각에서는 지난해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가격을 낮췄기에 올해도 업계 최저가로 경쟁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홈플러스와 이마트는 모두 당일 조업이 가능한 품목 특성상 비축이나 정확한 확보량 파악이 어려워, 우선 물량 확보에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꽃게 전쟁에서는 경쟁이 심화할 시 오히려 팔수록 손해가 누적되는 '출혈 경쟁' 가능성 또한 언급됐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고객들이 마트에 꽃게 구입하려고 오지는 않을 것"이라며 "가을 꽃게가 제철 상품으로 유명한 만큼 '미끼 상품'으로 되려 고객 유입률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