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찬병원,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관절강내 주사 도입…혈소판 활성화로 치료 효과 기대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0 09:40:34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치료법이 신의료기술로 승인되면서 비수술적 치료 옵션이 확대되고 있다. 힘찬병원은 최근 보건복지부가 승인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관절강내 주사’를 도입, 특허받은 혈소판 활성화 기구를 통해 치료 효과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노화로 인해 연골이 손상되면서 극심한 통증과 보행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말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불가피하지만, 중기 단계에서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면 증상 완화와 진행 억제가 가능하다.
 

▲ 힘찬병원,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관절강내 주사 도입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2월 신의료기술로 인정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관절강내 주사는 1년 이상 기존 치료(경구 약물, 스테로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주사)에 반응하지 않는 중기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환자 본인의 혈액에서 혈소판을 분리·농축해 관절에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절개나 입원이 필요 없어 환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평가다.

류승열 힘찬병원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PRP 관절강내 주사는 외래 시술만으로 통증 완화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다”며 “다만 치료 횟수는 환자 상태에 따라 3~5회가 필요하므로 전문의 상담과 정확한 진단을 통한 적합성 평가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힘찬병원은 혈소판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자체 기술을 도입했다. 병원은 의료기기 제조사와 공동 개발한 특수 활성화 기구 ‘프로 액트 플러스(PRO ACT+)’를 활용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혈소판을 물리적으로 활성화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해당 기구는 올해 초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힘찬병원이 유일하게 사용 중이다.

이동녕 힘찬병원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혈소판 활성화는 치료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물리적 활성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효과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