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폭증에 은행권 금리 인상 쇄도

오민아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0 09:56:32
  • -
  • +
  • 인쇄
5대 시중은행 가계채출 잔액 2주 새 4.2조 폭증
금융당국 압력에 시중은행 이어 인터넷은행까지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자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까지 주택담보대출 금리 줄인상에 나서고 있다. 

 

한국은행 기준 지난달 말 은행권 가계대출 총 잔액은 1120조8000억원으로 한 달 사이 5조5000억원 늘었다. 특히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4일 기준 719조9178억원으로 지난달에 비해 4조1795억원이나 증가했다.

 

▲ 4대 시중은행. [사진= 각 사 제공, 메가경제 편집]

 

2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20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3%P,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0.2%P씩 인상한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3일 주담대 금리를 0.13%P 인상한 것을 시작으로 총 다섯 차례 금리 인상과 다주택자 주담대 제한 결정을 했다. 

 

신한은행도 오는 21일 3년물 이하 금융채 금리 지표 대출상품 금리를 0.05%P 인상한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5일부터 총 여섯 차례 대출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하나은행은 금리인상과 동일한 대출 감면금리 축소에 나섰다. 하나은행은 오는 22일부터 주담대 감면금리를 0.6%p, 전세대출 감면금리는 0.2%P 축소 조정한다.

 

우리은행도 지난 한달 동안 4~5차례 주담대, 전세대출 등 대출금리를 인상했다. 농협은행도 지난달 24일, 이달 14일 2회 주담대 금리를 올렸다.

 

인터넷전문은행들도 마찬가지다. 카카오뱅크는 이달 14일부터 주담대 가산금리를 0.2%P 인상했다. 지난달 26일에도 주담대 금리를 0.1%P 인상했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9일부터 이달 19일까지 총 5번 대출금리를 올렸다. 아파트담보대출(아담대) 5년 주기형 가산금리와 변동금리 상품의 금리를 0.15%P 인상했다. 

 

은행권의 일련의 움직임은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조이기와 대출 총량 규제 조치의 일환에 은행권이 편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민아 기자
오민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