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KODEX ETF 순자산' 업계 첫 70조 돌파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0 10:14:04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70조원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7월 KODEX ETF 순자산이 60조원을 넘긴 후 이래로 7개월여 만에 10조원이 늘었다. KODEX의 이 같은 성장세는 초단기형부터 해외 지수형, 월배당 커버드콜, 신개념 테마 등 30개의 다양한 상품을 보유한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두각을 보인 영향이 컸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사진=삼성자산운용]

 

실제 국내 주요 초단기형 ETF 상품으로 자리 잡은 ‘KODEX 머니마켓액티브’와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의 순자산이 7개월 만에 각각 4조8400억원, 8800억원 성장했다. 최근 총보수를 업계 최저인 0.0062%로 낮춘 미국대표지수 상품 ‘KODEX 미국S&P500’과 ‘KODEX 미국나스닥100’도 합산 순자산이 2조5600억원에서 5조7500억원으로 125.2% 증가했다. 특히 KODEX 미국나스닥100의 경우 기획재정부의 입법 예고안에 따라 지난달 24일 기존 ‘분배금 자동재투자형(TR)’에서 ‘분배금 지급형’으로 유형을 변경한 이후 개인 매수세가 집중됐다는 판단이다.

 

삼성운용은 지난해부터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커버드콜 상품 라인업을 10개로 늘렸다. 미국 자산을 연계한 상품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새롭게 선보인 국내 자산을 활용한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과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의 합산 순자산은 2000억을 넘었다.

 

이외에도 새로운 유형의 테마인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KODEX AI전력핵심설비’ 등과 지난해 국내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KODEX 미국서학개미’, 달러 강세 대비 대표 초단기상품인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 등의 순자산이 1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특히 KODEX의 개인 순자산 규모가 12조4000억원에서 17조1000억원으로 37.9% 크게 늘었는데, 이는 개인 투자자의 눈높이에 맞는 신상품 개발 및 기존 상품 등에 대한 마케팅 활동이 적중했다는 판단이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ETF 순자산은 업계 2위와의 격차를 9000억원가량 늘어난 4조5000억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운용하고 있는 ETF 상품 204개는 글로벌 운용사 기준으로 미국 자산운용사 인베스코(Invesco)의 229개에 이어 전체 7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박명제 삼성자산운용 ETF사업부문장은 “업계 최초로 KODEX가 순자산 70조원을 돌파할 수 있게 신뢰와 성원을 보내주신 투자자에게 항상 감사하다”며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최대 ETF 운용사로서 늘 고객과 고객 수익률에 집중해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신상품 및 서비스 개발에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